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처
상해
손상
등짐장수
등짐장
부상꾼
부친상
d라이브러리
"
부상
"(으)로 총 829건 검색되었습니다.
3. 대통일장 이론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열로 인한 손실 없이 송전이 가능하다. 대형 가속기나 자기
부상
열차에 쓰이는 전자석은 초전도코일을 이용해 만든다. 그러나 많은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는 초전도현상은 극저온에서만 가능하다고 알려져 왔다.그런데 1982년 뮐러는 30K의 고온에서도 초전도가 가능하다는 ... ...
전화가 바뀐다, 세상이 바뀐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인해 2000년대에 접어들면 개인휴대통신은 현재의 이동전화수요를 대체, 황금시장으로
부상
할 전망이다. 사업권을 확보하기 위해 삼성과 현대가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재계가 '적과의 동침'도 불사하는 것은 이 시장이 가진 성장 잠재력을 짐작케 한다.주파수공용통신(TRS)유통업 변혁 이끌 ... ...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본다.실제 선수들이 발에
부상
을 입는 정도와 형태를 조사하고, 어떤 동작을 할때 그러한
부상
을 입기 쉬운지 알아본다. 이들을 토대로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판단한다. 더 필요한 정보나 실험이 있는지 토의해 수행한다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소화기 하나가 터져 이를 폭파사건으로 오인한 관객들의 무질서와 혼란으로 수십명의
부상
자가 발생한 경우를 생각하면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혼란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관공서건물 방송통신시설 군용건물 등이 붕괴돼 기능이 마비되고 대도시의 상당수 건물이 붕괴하는 사태가 발생하면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있는 이 제품은 네트스케이프사를 네트워크 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회사로 급
부상
시켰다. 지금도 네트스케이프사의 주식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는 중이다.한편 선 마이크로시스템스는 작년 5월 자사의 새로운 객체지향 언어인 자바를 세상에 발표했다. 자바는 네트워크에 가장 잘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요지부동이다. 그러나 이에 맞서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종주권을 주장하는 일본세력이 급
부상
하고 있다. 미국의 장거리 전화회사 MCI가 아시아시장 진출을 겨냥해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고속망을 구축하려하자 일본 KDD는 태평양 중간지점에서 MCI라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나섰다.일본은 이와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많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다중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운 관심거리로
부상
했다. 다중 시스템을 발명하는 사람이 부와 명성을 얻게 되는 것은 불보듯 뻔한 분위기였다.웨스턴일렉트릭사의 고위 경영진이던 그레이는 1874년 우연히 단서를 잡았다. 어느날 그는 전기실험 애호가인 사촌동생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깊숙한 곳에 뜻하지 않게 풍부한 생물이 사는 요인이 됐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새롭게
부상
하는 분야의 거대한 규모를 염두에 둔다면 환경보호론자들이 육지의 생태계에만 신경을 쓰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램쉬드박사는 말한다. "교과서에는 아직도 모든 종의 80%가 열대우림에 집중돼 있다고 ... ...
1. '정보의 바다'에는 암초가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장벽이 아닐 수 없다.인터넷의 미래, 장미빛만은 아니다인터넷이 점점 중요한 매체로
부상
하면서 미국 정부의 인터넷 개입설이 자주 이야기 되고 있다. 물론 현재는 인터넷 사용자의 강한 반발과 미국정부의 인터넷개입 명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미국 정부가 ... ...
냉장고는 왜 윙윙거릴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GE의 뒤를 따랐다.이 과정을 통해 전기압축식은 냉장고 기술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부상
했고, 현재까지 그 위세를 떨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전기압축식 냉장고가 성공한 이면에는 '가스흡수식' 냉장고의 실패가 있었다는 점이다. 사실 냉장고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됐던 20세기 초만 해도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