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학"(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일이다. 후성유전학뿐만 아니라, 정신의학, 신경과학, 세포생물학, 발달심리학 등 최신 과학은 트라우마가 세대에서 대로, 몸에서 몸으로 대물림된다는 증거들을 속속 내놓고 있다. ‘트라우마는 어떻게 유전되는가’는 이 같은 최신 연구 결과를 망라한 책이다. 저자는 ... ...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새로운 시뮬레이션에는 황산염 농도의 변화가 추가됐다.논문의 제1저자인 NASA 우주생물학연구소 스테파니아 올슨 연구원은 “과거 기후 모델은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바닷속 박테리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무시했다”며 “암석이 깨지면서 강과 바다로 흘러든 황산염 성분 때문에 ...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잠자리가 검은색 묘비에 끌리는 이유도 편광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낸 바 있다(담수생물학, 2007, 52(9) 1700–9).평화상‘심오해 보이는 헛소리(pseudo-profound bullshit)의 수용과 인식에 대해’ 라 는 논문으로 캐나다 워털루대 심리학과 고돈 페니쿡 교수팀이 평화상을 수상했다. 연구 결과, 무작위로 아무 ...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결과, 이론으로 예측한 것보다 실제 곤충 화석의 최대 크기가 작다는 것을 발견했다(고생물학 학술지 ‘레타이아’, 2008년 4월 10일자).산소 농도에 반응해 몸집을 키우는 정도도 곤충 종에 따라 다르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존 반덴브룩스 교수팀이 바퀴벌레, 잠자리, 메뚜기, 딱정벌레 등 다양한 ...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밝힌 사람은 해밀턴이었다. 할데인이 아니라, 해밀턴이 사회생물학의 지적인 아버지가 되었다. 그 점을 명확히 해 두고자, 나는 “결정적인 진전은 해밀턴이 낸 논문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내 서평에서 적었다(메이나드 스미스, 1976년, 247쪽).메이나드 스미스 같은 거물이 ...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각하십니까?”“그, 글쎄요? 정치입니까……?”내가 더듬거리며 반문했다.“저는 분자생물학 아니면 뇌공학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망설이다가 뇌공학으로 전공을 정했지요. 제 선택은 옳았습니다. 이미 뇌공학은 세상을 바꾸는 중입니다. 뉴로마케팅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뇌파 반응으로 ...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화석 중 하나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외계생명체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들이 자주 찾는 지역이다. 어떤 미사여구도 필요 없는 붉은 길을 가로지르자 사방이 붉은색으로 둘러 쌓인 지대가 펼쳐졌다. 마치 화성의 모래 폭풍 속에 서 있는 것만 같았다.본격적인 드론비행 시험에 ...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문화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우주생물학을 공부하고 문명에 대한 책을 쓰는 등, 인생의 큰 선택을 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건 내 안의 호기심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과연 인류의 과학문명에 또 어떤 질문을 던질까 ...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참여해 지식을 나눠 만든 결과를 ‘집단지성’이라고 부른다. 경영학과 사회학은 물론, 생물학과 물리학 등 다방면에서 집단지성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수학에서도 집단지성 프로젝트가 가능할까?수학에서도 대규모 연구 가능할까?2009년 1월, 필즈상 수상자인 티머시 ...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물계절모형’을 추가로 이용한다. 생물계절모형은 식물이 주기적으로 보이는 생물학적 변화를 이용해 시기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예를 들어 개나리, 진달래, 벚꽃 등은 봄에서 가을까지 꽃눈이 분화해 이듬해 봄에 개화한다. 겨울이 가까워져 오면 일종의 겨울잠인 내생휴면에 들어가게 되는데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