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이 역시 기준이 엄격하지 않아 잘못된 결과를 많이 이끌어 낸다는 겁니다.연구의 중요
성과
상관 없어흔히 P-value를 연구의 효과가 얼마나 큰지 나타내는 척도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귀무가설은 ‘신약이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대립가설은 ‘신약이 치료에 효과가 있다’예요. P-value는 0.02가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상리적 협력(+/+)인지 대개 나중에서야 알 수 있다. 요컨대, 오늘날 진화생물학자들은 이타
성과
상호이득을 묶어서 어쨌든 다른 개체의 적합도를 높여주게끔 진화한 행동을 ‘협력(cooperation)’이라고 부른다.자연선택은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증가시킨다해밀턴의 목표가 피셔의 근본정리를 사회적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않고 포기한다. 자신을 믿는 사람은 난관에 빠져도 계속해서 도전하며 결국 더 좋은
성과
를 내곤 한다.마지막으로 생각해 볼 것은 통제감이다. 통제감이란 내 삶을 내 뜻대로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통제감의 반대는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무력감이다. 삶에서 예측도 못하고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젊은수학자상뿐 아니라 국가정보원과 방송통신위원회에서도 상을 받으셨네요. 어떤
성과
로 받게 된 건가요?먼저 상산 젊은수학자상부터 말씀드릴게요. 미국 캘리포니아대 호바브 샤참 교수가 제한된 조건에서 불가능한 수학적 구조를 증명한 게 있어요. 그런데 저는 그 제한 조건을 벗어날 수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할 수 있다.Q : 가속기는 한국 과학계에 어떤 의미인가.A :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
성과
들은 주로 외국 연구진이 주도해 왔다. 국내 연구자가 참여하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역할이 제한적이었다. 아이디어가 있어도 시설이 없기 때문에 해외에 요청을 해야 연구할 수 있었다. 나도 그런 이유 때문에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그 사람은 여기에도 왔었던 걸까? 그리고 그 기억은 무언가 손에 관련된 것이었는데?은
성과
화연이 만든 새 책장이 들어왔다. 책장은 빈 공간에 너무나도 정확하게 맞아서 마치 이전부터 벽의 일부였던 것 같았다.그 뒤로 한동안 윤정은 은성을 만나지 않았다. 번역 마감이 코앞이었고 지호가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젊은 시절에 이룬다고 하나요?저는 꼭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실제로는 하나씩 연구
성과
를 쌓아가며 말년에 그 연구를 총망라하는 결과를 얻는 것 같아요. 저도 박사과정 때와 그 직후에 괜찮은 연구 결과가 나왔지만, 그 연구가 제 인생에서 가장 좋은 결과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연구를 계속하다 ... ...
INTRO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끝에 서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20~30대 과학자들의 고용불안이 심각하다. 언제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은 연구
성과
에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 다수의 비정규직 과학자들을 인터뷰해 사태의 심각함을 알아보고(1파트),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찾아봤다(2파트).▼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정규직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적금을 붓듯 돈을 모아 고정적인 인건비를 처리하는 셈이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연구
성과
를 높이고 젊은 연구자들의 처우를 개선하는 길이다.박사급연구자 고용을 늘리는 추가적인 방법이 있다. 조성민 독일 막스플랑크 고분자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대학서열 완화”를 꼽았다. “한국은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대다수 바이오해커의 목표는 생명에 대한 지적 호기심의 충족이다. 또한 이들의 창의
성과
교육 활동이 합성생물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영양분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인체에 치명적인 병원체를 합성하는 기술이 언젠가는 바이오해커에게도 전달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만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