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교재를 다수 집필하였다. 사람들이 디지털 나라 여행 중 미로에 빠지지 않도록 길잡이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우수 미션 참가자를 소개합니다!•정유나(신*초) 디지털 협업의 사례와 제가 꿈꾸는 디지털 협업을 소개 합니다!제가 경험하고 보았던 가장 대표적인 디지털 협업은 어과동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할로윈 특집 우리 집 부엌에 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장력’이 물의 표면에 생겨요. 요술봉에 묻혔던 주방세제는 물의 표면 장력을 깨뜨리는 역할을 해요. 세제는 물과 기름 모두와 가까이 있을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 이뤄져 있어, 물 분자끼리 잡아당기는 힘을 방해하거든요. 따라서 물 표면에 주방세제를 묻힌 요술봉을 대면, 표면에 있던 물 ... ...
- [특집] 달 얼음 깨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번 챌린지에서 1등을 한 팀은 로버 두 대를 한 조로, 충전과 채굴 역할을 구분해 실행하는 시스템입니다. 로봇 청소기를 연상시키게 하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네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바람으로 조명을 ON! 풍력 에너지타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우드락1의 빨간색 선을 따라 전도성 테이프를 붙이고, 동그라미 부분에는 가로등 역할을 할 전구를 놓은 뒤, 전도성 테이프로 고정합니다. 그리고 테이프 끝 부분에 풍력 모터의 전선을 연결하면 에너지타운 회로 완성! 전구 위에 건물을 설치한 뒤, 풍력 모터의 날개 앞에서 숨을 불어 날개를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등 약 40개 국가가 참가했지요. 오후 4시 경 동굴과 지하 서식지의 생물다양성과 박쥐의 역할에 대해 발표한 필리핀 연구자에 이어, 지구사랑탐사대의 발표가 시작됐어요. 영상을 본 카리나 마리는 “미래 세대들이 박쥐의 중요성을 배운다니 정말 놀랍다”며, “한국의 미래 세대는 앞으로 더 멋진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물질은 노란색을 띠거든요.리보플라빈은 몸 안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을 몸 안에서 에너지로 바꾸는 데 필요한 효소를 구성하는 성분이기 때문이지요. 리보플라빈은 우유, 계란, 닭고기 등의 일반 식품에도 들어 있답니다.리보플라빈은 물에 녹는 ... ...
- [가상 인터뷰] 딸랑딸랑~, 가까운 듯 멀리 떨어진 방울뱀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무시무시한 이빨로 낚아채는 거야. 우리의 독은 대부분 혈액 내의 적혈구를 파괴시키는 역할을 해. 몇 시간 내로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맹독을 가진 방울뱀도 있단다. 이름은 왜 방울뱀이니? 꼬리 끝에서 나는 방울 소리 때문이야. 이름만 보면 청아하고 맑은 방울 소리가 날 것 같지만 실제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흡수돼요. 밀랍의 주성분인 지방산은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성질이 있어 밀랍 랩은 방수 역할을 해요. 또, 점착성이 있어 그릇이나 과일 등을 감싸고 손의 열기로 누르면 랩이 고정된답니다. 한걸음 더!꿀벌은 효율적인 건축가?!벌집의 모양을 떠올려보면 육각형이 생각나요. 앗? 그런데 벌집은 ... ...
-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다녀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전북 고창갯벌에 직접 다녀왔습니다. 한국의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강원대학교 우경식 교수님, 그리고 람사르고창갯벌센터와 함께했지요. 기자의 눈 앞에 물결무늬가 수놓아진 모래갯벌부터 울퉁불퉁한 표면에 햇빛이 반짝거리는 차진 펄까지 한번에 볼 수 있는 ... ...
- [기획] 유네스코의 결정 아쉬운 점도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생물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비단 이뿐 아니라 우리나라 갯벌은 탄소중립의 핵심 역할을 해줄 거라 믿습니다. 이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건 숙명이 되었어요. 이러한 가치까지 생각하면 정말 천문학적인 숫자가 될 거예요. 갯벌을 더욱 잘 보전하고, 복원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Q어린이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