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맛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윈디쉬 박사는 이 계산이 실제 사탕이 녹는 속도와 얼마나 비슷한지 확인하기 위해
오른쪽
그림과 같은 실험 장비를 만들었어요. 기계를 이용해 물을 천천히 저어 주며 사탕이 녹는 것을 관찰한 결과, 수식으로 예측한 결과와 실제 사탕이 녹는 속도가 98% 정도 일치했답니다.사탕 실험에 너무 집중을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수 있다. 그 외에도 문장의 다른 특징으로 행렬을 구성할 수도 있다. 특징이 많으면
오른쪽
으로 긴 행렬이 되고, 데이터가 많으면 아래쪽으로 긴 행렬이 된다. 행렬이 한쪽으로 너무 긴 형태가 되면 풀기가 어렵다. 이럴 때는 선형대수학이나 수치해석학의 이론으로 우리가 풀 수 있는 형태로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모두 타격 지점을 기준으로
오른쪽
을 향하고 있다면 사건이 발생할 당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타격이 이뤄졌다고 추론할 수 있다. 푸페의 법칙은 저속 충격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같은 뼈에 여러 개의 손상이 관찰되는 경우 골절이 중단된 양상을 살펴보면 타격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죽음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밥이 딱딱하게 굳어 있다. 근전도 센서와 동작 마커를 붙인 채 서서 작업하는 모습(
오른쪽
). 특수 제작된 신발로 발압이 어떻게 변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최근에는 실험동물로 마우스가 각광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초파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다. 성장 속도가 빨라 표현형을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한 손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번갈아 가려가며 펜을 보세요. 펜의 위치가 미세하게
오른쪽
과 왼쪽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다행스럽게도 우리의 뇌는 양쪽 눈을 통해 들어온 두 개의 이미지를 잘 합쳐서 하나로 보게 해 줘요. 이를 ‘융합 기능’이라고 해요. 그런데 어차피 두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솔방울의 주위를 돕니다. 포엽의 배열을 자세히 살펴보고 왼쪽으로 돌아가는 나선과
오른쪽
으로 돌아가는 나선의 수를 각각 세어 보세요. 피보나치 수가 보이시나요?피보나치 수는 나무의 가지가 자라는 패턴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가지가 돋을 때 가지의 수가 피보나치 수를 유지하는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오염되는 일도 잦았다. 통신시스템이 갖춰지면 이런 문제가 단 번에 해결된다. ‘
오른쪽
으로 30cm만 더 이동해서 해저면을 촬영해주세요’와 같은 주문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4000t급 이상 과학조사선을 4척씩 가지고 있는 중국과 일본도 아직 완벽히 구축하지 못한 시스템이다.바다에선 안전이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뇌를 진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EMDR)’이 있다. 왼쪽과
오른쪽
으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빛을 따라 눈을 좌우로 움직인다. 하 박사는 “EMDR은 다른 치료법에 비해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치료법이라 학대 아동에게 많이 쓰인다”며 “아직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언어인 ‘베릴로그’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논문에 나온 소스코드 자체는 간단하다(
오른쪽
사진). ‘이 정도면 나도 할 수 있겠는데?’라는 생각에 기자가 무턱대고 유전자 설계에 도전해보기로 했다.코딩하고 유전자 부품 설계하면 끝!연구팀이 만든 첼로 홈페이지3)는 사용자가 직접 첼로를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있다”고 말했다.주요 폭약 물질인 TNT를 감지하면 잎의 색이 엷어지는 감시식물.
오른쪽
으로 갈수록 TNT에 오래 노출된 잎이다.현재 합성생물학을 이용한 시제품을 가장 많이 개발하고 있는 분야는 ‘바이오센서’ 분야다.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결합을 이용해 특정 물질을 감지하는 센서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