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성
정밀성
d라이브러리
"
정교함
"(으)로 총 1,2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초고체(supersolid)가 다이아몬드보다도 단단한 고체냐고 물어보는 분들도 있더군요.”초고체 연구로 최근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39세)는 연구실을 찾은 기자가 “초고체라는 이름이 잘못 붙여진 것 같다”고 말하자 사실 좀 문제가 있다고 대답했다. ‘초유체 ... ...
컴퓨터 없인 금융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이제 우리는 컴퓨터 없이 살기 힘든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수조 원에서 수백조원에 이르는 엄청난 액수의 돈을 관리하는 은행 같은 금융기관에서는 말할 나위가 없겠지요. 입금과 출금 같은 은행 고유의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도 필요하겠지만 금융기관에서 투자한 상품의 위험을 측정하거나 거래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N극이나 S극으로만 이뤄진 자석은 없을까?”이런 황당한 질문에 “반으로 쪼개면 되지” 하고 대수롭지 않게 대꾸하는 이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자석이 N극과 S극 두 극을 언제나 한 몸으로 갖고 있음을 알고 있다면, “그런 게 있을 수 있나?” 하고 반문할 것이다. 자석은쪼개고 또 쪼개 아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종이학이나 종이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나는 방법은 없을까. 종이배를 타고 크루즈 여행을 떠날 수는 없을까. 아직까지 종이로 접은 물건을 타고 하늘을 날았던 사람은 없지만, 종이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데 성공한 사람들은 있다!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한 아티스트가 커다란 종이배를 접어 타고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달도 3차원으로 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달궤도탐사선(LRO)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달의 3차원 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12월 17일 NASA의 고다드 우주항공센터는 레이저빔을 이용해 달의 지형을 정교하게 측정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달의 입체지도를 만들었다고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울면 안 돼~♩ 울면 안 돼~♪ 산타 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겐 선물을 안 주신대~♬”오늘은 설레는 크리스마스 이브. 올 겨울엔 엄마 말씀도 잘 듣고 울지도 않았어. 그러니 산타할아버지께서 멋진 선물을 주시겠지? 난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잠이 들었어. 단잠에 빠져 있는데, 어디선가 부스럭거리는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퀴즈 프로그램 의 사회자 ‘어처구니’입니다. 저를 처음 본다고요? 궁궐 지붕에 살면서 궁궐을 보호하는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본 적조차 없다고 하니 슬프군요. 평소 우리 문화재에 관심을 좀 가져 주세요…. 제얘긴 잠시 뒤에 다시 하기로 하고, 오늘의 퀴즈 주인공을 소개하겠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내 이름은 디스커버리호. 사람들을 우주로 태워 보내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이다. 과거 미국 대륙과 하와이 섬을 발견했던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사용하던 배와 이름이 같다. 앞으로 우주 미션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발견을 많이 하라는 기대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그래서였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레이저는 고출력의 에너지를 한 점에 집중해 물체에 강한 열과 압력을 가한다. 레이저를 쬐는 시간과 강도를 조절하면 금속이나 세라믹 같은 물질을 원하는 대로 가공할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는 기술이 레이저가공이다.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원하는 에너지로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복잡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난 10년 동안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화제가 되고 심지어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꿔놓았다고도 할 수 있는 게 바로 마이크로RNA(microRNA)의 발견이다. 단일가닥염기 20여 개로 이뤄진 작은 분자인 마이크로RNA가 생명체의 발생과 노화 과정은 물론 질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