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형태
생김새
외형
영상
외모
윤곽
d라이브러리
"
형상
"(으)로 총 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배열시키면 안테나의 이득이 높아지고 지향성이 좋아진다. 어레이안테나는 같은
형상
의 안테나가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배열되어 있는 개개의 안테나를 소자안테나, 간단히 소자라고 하고 배열간격을 소자간격이라 부른다.개구면안테나는 전파빔의 방향을 바꾸려면 안테나를 ... ...
PARTⅠ 가변기구와 전자제어 전성시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보다 컴팩트화시키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아울러 각 차량의 구성에 가장 적합한
형상
이 고안되고 있다. 또한 엔진 탑제방법의 대폭적인 변경과 그에 따른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엔진의 경량화는 새로운 재료의 응용과 엔진의 구조변경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신재료 응용의 예로 ... ...
PARTⅡ 항공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줄여 엔진의 무게를 가볍게 함으로써 항공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또 2차원
형상
을 갖고 분사가스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이 노즐은 가속 급선회 급가속시에 매우 유용하다. 게다가 순항시 항력을 감소시키고 연료를 절감해 주며 착륙시 에어 브레이크가 ... ...
PARTⅢ 재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직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내연기관의 소재로 철강재료가 주로 사용돼 왔다.복잡한
형상
을 갖거나 주조나 단조를 통해 성형하기 곤란한 부품은 주로 분말 야금법을 활용해 제조하고 있다. 즉 금속 분말을 가압 성형한 뒤 소결함으로써 까다로운 기계부품을 만드는 것이다.비철재료(非鐵材料)로는 ... ...
난방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감소시킬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알아본다.우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건물
형상
이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같은 면적(4㎡)의 건물을 지을때도 정사각형(a) 구조는 외부와 접하는 길이가 8m밖에 안되는데 굴곡이 있는 구조(b)는 10m로 2m가 많게 된다. 이러한 원칙을 적용해볼 때 쓸데없이 건물구조에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있어서의 캐릭터는 극중의 주인공역이 되는 인물 동물 물체나 기타 상징적인
형상
을 말하는데 과거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에서도 그랬지만 어떠한 형태이건 그림으로 그려서 화면에 나타내면 그것을 캐릭터로 사용했던 것이다.자연적인 현상인 바람 구름 물방울 불 등에서부터 도깨비 귀신 그리고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찾아나선 아르고나우트(Argonaut)를 안내하기 위해 황도상에 자신과 같은 반인반마의
형상
을 만들었다 한다. 궁수자리는 우리 은하계의 중심이다. 이곳은 구상성단(球狀星團)이 밀집돼 있고 은하수 폭이 넓다. 구상성단이 집중된 곳의 거리를 측정해보면 태양은 은하계 중심으로부터 약 3만광년 떨어진 ... ...
고감도 우주망원경에 심각한 영향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망가뜨리거나 컴퓨터의 혼란을 유발한다. 심지어는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유령같은
형상
들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 이유는 이 지점에서 반 알렌대의 이상 현상이 빚어지기 때문이다.반 알렌대는 보통 지상 약 8백km 이상의 위치에서 아(亞)원자입자(subatomic particle)들을 지닌 자장대다. 그런데 SAA가 ... ...
자성유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첫째로 자기장이 강자성유체에 작용하는 힘과 그에 따른
형상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물체를 봉합해주는 실링(sealing)장치와 윤활장치 등에 활용되고 있는데 현재 회전축 실링장치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자성유체를 실링장치로 이용하면 새는 곳이 ... ...
기린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정확하게는 지라프라고 불러야 하지만 상상해서 그린 동양의 기린이 지라프와 비슷한
형상
을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냥 기린이라고 부르고 있다. ●- 왜 키다리가 되었나?옛날에는 아시아에도 기린과 같은 속(屬)의 동물이 살고 있었다고 전한다. 가까운 일본에서도 1백만년 전의 기린화석이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