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1,02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도 '거울 테스트' 통과했다
과학동아
l
2019.03.08
dimidiatus)를 대상으로 거울 테스트를 했다. 먼저 수족관에 청줄청소놀래기를 넣고 수조
바깥
에 거울을 둔 뒤 청줄청소놀래기의 행동을 관찰했다. 거울을 처음 본 날 10마리의 청줄청소놀래기 중 7마리가 거울에 비친 자신을 경쟁자로 간주해 입을 쪼는 등 공격적인 행동을 보였지만, 이 행동은 ... ...
치아에 고주파 쏴… 방사선 피폭량 간단히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사용했다. 사람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몸 곳곳에 흔적을 남긴다. 치아도 마찬가지다. 가장
바깥
쪽 층인 ‘법랑질(에나멜)’이 형성될 때는 탄산 이온이 일부 불순물처럼 섞여 든다. 여기에 방사선이 지나가면 원자와 결합하지 않은 자유전자가 결합하고 다른 원자와 결합하지 않은 여분의 전자를 지닌 ... ...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신경세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책임연구원팀이 인간의 역분화줄기세포(iPS,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뇌의 가장
바깥
쪽의 대뇌피질 신경세포를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28일자에 발표됐다. 치매나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은 뇌의 ... ...
물질
바깥
만 전류 흐르는 '위상부도체' 실험으로 구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양자화된 스핀 홀 전도도 모식도를 나타냈다. 전기를 흘려주면 스핀 방향이 같은 전자끼리 나란히 정렬하게 된다. 이때 스핀들이 이동하는 스핀 홀 전도도가 측정된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부도체지만 전기가 흐르는 위상부도체를 실험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최초로 규명했다. 수학적인 계산을 ... ...
이웃한 은하가 은하를 변화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운동 간에 관련성은 은하의 외곽부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은하의 안쪽보다는
바깥
쪽이 더 외부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이다. 회전하는 은하가 어둡고 가벼울수록, 이웃 은하는 밝고 무거울수록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다. 가벼운 은하일수록 외부의 영향을 받기 쉽고 반대로 무거운 이웃 ... ...
핵융합 3파전…한국 인공태양이 최종 승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내부의 온도는 순간적으로 최대 4000만 도까지 올라간다. 곧 내부 폭발이 일어나는데,
바깥
을 향해 터지는는 게 아니라 좁은 공간 안쪽으로 무너져 내리는 ‘내파’가 일어난다. 부피가 10만 분의 1 이하로 쪼그라들면서 내부에 별의 중심부와 같은 초고밀도 상태가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핵융합이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달랐다. 보다
바깥
에 위치한 무거운 프로테우스가 안쪽의 가벼운 히포캄프보다 빨리
바깥
으로 멀어졌다. 두 위성의 거리가 점점 벌어지는 중이라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두 위성이 과거에는 하나였다가 혜성 충돌 등으로 멀어지고 있다고 추정했다. 프로테우스에는 실제로 가장 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Rn]6d(1)7s(2)다. 5f 오비탈보다 6d 오비탈에 먼저 전자가 채워진다.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바깥
쪽 오비탈의 에너지 차이가 미미해지기 때문에 이처럼 마델룽 규칙을 벗어나는 배치가 나오는 것이다. f 오비탈에 전자가 없는 란타넘(La)과 악티늄(Ac)을 f 블록에 넣는 건 이상한 데다, 이들 원소의 d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고리의 질량도 알아냈다. 그랜드 피날레 이전의 카시니 궤도는 A고리(주요 고리 중 가장
바깥
쪽 고리) 밖이었기 때문에 중력을 측정하면 토성의 적도 부분과 고리의 영향이 섞인 결과만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고리 안쪽으로 진입하면서 토성 자체와 고리의 중력 효과를 구별할 수 있게 된 ... ...
[표지로 읽는 과학]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강해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고, 전파망원경으로만 관측이 가능하다. FRB는 우리은하
바깥
의 먼 우주로부터 온다. 하지만 아직까지 FRB가 어디에서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미스터리다. 지금까지 FRB는 1.4GHz(기가헤르츠) 정도 주파수 대역에서 주로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천체끼리 또는 성운끼리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