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스페셜
"
부위
"(으)로 총 7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얼굴이 차지하는 면적이 유난히 넓다. 그만큼 민감하고 섬세한
부위
라는 말이다. 신체
부위
가 이 면적에 비례하게 만든 사람 모형이 바로 감각 호문쿨루스로 상당히 기형적인 형태다. 11년 동안 팔과 소통이 끊긴 원숭이 뇌의 체감각피질에서 손을 담당하는 영역은 예상대로 손을 흔들어도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절단 시뮬레이터’와 결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실감형 원격 시뮬레이터는 오염된
부위
를 정확하게 자르고 담는 훈련을 도와주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다. 궁극적으로 조종실에 있는 로봇팔을 움직여 현장에 있는 로봇팔을 움직일 수 있도록 발전시켜 갈 예정이다. 서 부장은 “원전 같은 시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주고받는 ‘디폴트모드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른 뇌
부위
보다 대사율이 높다. 즉 포도당을 많이 소모한다는 말이다. 소위 ‘비싼 조직(expensive tissue)’으로 불리는 뇌는 무게로는 체중의 2%에 불과하지만 쉬고 있을 때 전체 에너지 소모량의 20%나 차지한다. 따라서 뇌가 ... ...
미리보는 남북공동회담, 판문점 24시 타임라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민어와 해삼초를 이용한 편수, 부산의 대표적 생선인 달고기 구이, 서산 목장의 한우
부위
별 구이를 준비했다. 스위스식 감자전 북측에서는 평양 옥류관 냉면, 김해 봉하마을 쌀과 DMZ 산나물로 만든 비빔밥과 쑥국, 도미찜과 매기찜을 마련 했다. 청와대가 공개한 남북정상회의 만찬 메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변연계로 들어간다는 점이다. 변연계는 감정과 기억에 관여하는 해마와 편도체가 있는
부위
다. 후각이 즉각적인 감정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오래돼 까맣게 잊고 있었던 기억도 떠올리게 하는 이유다.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0일자에는 코로 숨을 쉬면 후각을 통해 호흡리듬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6300회 인용됐다. - ‘네이처 의학’ 제공 무엇보다도 뇌에서 신경생성이 일어나는
부위
가 기억과 학습에 관련된 해마라는 게 이런 반향을 일으켰다. 즉 신경생성이 기억과 학습에 연관될 가능성이 크고 이어지는 연구에 따르면 생활습관이 신경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예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무척 어려운데 표피의 두께가 0.1mm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표피 아래가 진피로
부위
에 따라 다르지만 두께가 1mm 내외다. 진피에는 표피와는 달리 모세혈관이 분포한다. 즉 찰과상을 입어 피가 나면 진피까지 다친 것이다. 문신을 새길 때 피가 나는데, 이는 문신 안료가 진피에 들어가 자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비롯된다. 즉 소리정보가 소리지각을 담당하는
부위
로만 가는 게 아니라 색을 처리하는
부위
로도 연결돼 소리자극을 색상으로 지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배선의 전선은 신경세포(뉴런)에서 나온 축삭(axon)을 의미하므로 축삭생성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가 공감각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예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8
주목해서 봐야 하는 부분은 붉은색 안개로 둘러쌓인 작은 녹색 파편
부위
다. 붉은색
부위
는 염증을, 녹색 파편은 다른 세포에서 들어온 DNA 조각을 나타낸다. 사무엘 백하움 미국 메모리얼 슬로운 케터링 암센터 연구원팀은 암 전이가 ‘소핵’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를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DHA가 때로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는 사실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게다가 다른
부위
도 아니고 눈을 공격하는데 실명에 이르기도 하는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독일 괴테대가 주축이 된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당뇨병 모델 생쥐의 망막에 있는 뮐러아교세포에서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