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d라이브러리
"
돌연변이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10
지구인들이 ‘모기’라고 부르는 흡혈 곤충을 생태계에서 없애고, 자이카 바이러스와 그
돌연변이
들을 박멸했어요. 그리고 소두증에 걸린 신생아들을 인공적으로 생장시켜서 모자를 씌웠어요.”니샤는 제 힘으로 걸어다니는 인간이 단 한 명도 없는 지구를 상상해보았다. 그 다음 뇌가 거의 없고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09
거치지만 관행육종으로 길러진 식물들은 어떤 안정성 검사도 받지 않는데, 이 역시
돌연변이
가 일어날 확률은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GMO가 안전하다는 것은 최근에 발표된 미국 국립과학원(NAS)의 보고서와 영국 왕립학회의 보고서만 봐도 알 수 있다. NAS는 20여 년간 발표된 GMO 관련 연구 데이터를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09
진화의 역사를 담고 있는 ‘시계’이기 때문이다. 모든 유전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돌연변이
가 생기고, 그 DNA에 진화의 역사가 고스란히 남는다. 일반적으로는 리보솜RNA 유전자를 이용해 계통발생 연구를 한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는 ‘자이레이즈(gyrase)’라는 유전자가 선택됐다. 자이레이즈는 DNA의 ... ...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
과학동아
l
201608
유지하고 축삭 생존에 필요한 단백질이 합성됐다.정 교수는 “사람의 RNA조절인자에
돌연변이
가 생겼을 때 어떻게 자폐증과 같은 신경발달장애나 루게릭병 같은 퇴행성질환이 유도되는지 알 수 없었다”며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셀’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과학동아
l
201608
걸까.진화는 부모에서 자식으로, 또 그 자식으로 유전자가 전달되는 현상이다. 중간에
돌연변이
가 발생하고 그 유전자가 후손을 남기는 데 도움이 되면 집단 내에 그 유전자의 수는 늘어난다. 그런데 박테리아는 또 다른 진화 방법을 지니고 있다. 주변의 다른 개체와 생식과정도 없이 유전자를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08
분산처리 기술 등을 개선해 분석속도를 3배까지 높였다”고 말했다.하지만 유전체
돌연변이
정보는 일종의 1차 자료로, 이것만으로는 단백질을 찾아내기 어렵다.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작업까지 거쳐야 비로소 ‘용의자’들을 지목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매년 나오는 수많은 논문을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07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비번역부위로 mtDNA에 두 곳이 있다. 다른 mtDNA에 비해 10배 이상
돌연변이
가 잘 일어나며 염기쌍 300개 정도로 길이가 매우 짧다. 인체 기능과 전혀 상관이 없기 때문에 자연 선택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시간의 영향을 받아 고인류학적 분석에 적합하다. 특히 서열 해독에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
과학동아
l
201607
노인성근감소증과 같은 질병 치료제의 표적이기도 하다.마이오스타틴 조절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기면 근육량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런 연구가 진행되는 건 돼지의 품종개량을 위해서다. 크기가 큰 콩이나 영양분이 많은 콩 등 유전자변형 식물(GMO 식물)은 우리에게 꽤 익숙하지만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607
등의 뇌질환으로 일찍 목숨을 잃기도 한다. 멜라스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는 10종류 이상으로, 대부분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번역과 관련된 tRNA에 문제가 있다. 전자전달 복합체에 이상이 생긴 레베르시신경병증(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는 병)과 라이증후군(간과 뇌에 부종 등이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과학동아
l
201607
9).나머지 10%는 유전적 원인으로, 이 역시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다. ‘SCNA’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기면 복합체 I과 전자전달계를 구성하는 ‘시토크롬 c(cyt c)’의 기능이 떨어진다.ATP를 빼앗긴 미토콘드리아, 암을 만나다암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빨리 자라는 세포다. 당연히 에너지(ATP)가 많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