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d라이브러리
"
속담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04
말 그대로 풀이하면 (도미찜의 맛이) 기생보다 낫다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한국
속담
인 ‘썩어도 준치’처럼 값진 것은 낡거나 헐어도 다른 것보다 가치가 있다는 말, ‘썩어도 도미’가 있다. 얼마나 맛이 뛰어난 물고기이기에 이런 평가를 받는 것일까.일반적으로 도미라고 하면 참돔(Pagrus major)을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12
똥개 눈에는 똥밖에 안 보인다, 제 얼굴엔 분 바르고 남의 얼굴엔 똥 바른다…. 여러
속담
에서도 알 수 있듯이 똥은 예나 지금이나 더러운 것을 나타내는 대명사다. 똥이 방 안에 가득 차 있다든가 똥 벼락을 맞는 꿈을 꾸면 큰돈이 생긴다는 꿈 풀이도 있지만 똥만큼 불쾌한 것도 없다. 남의 것은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10
양을 표현하는 데 무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나라에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속담
이 있다. 쉽게 말하면, 한대 때리고 열 대를 맞는다는 뜻이다. '말'과 '되'는 둘 다 부피 단위인데, '되'는 1.8L짜리 페트병에 들어가는 양이고 '말'은 그 열 배다. 사람들의 한 말의 절반만큼의 물의 양을 표현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10
크진 않지만 볼거리는 많다. 과거 염전에서 쓰이던 도구에서부터 소금과 관련된 다양한
속담
까지, 소금이라는 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오는 내용은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소금의 다양한 쓰임새. 소금박물관에는 음식의 맛을 내는 식품으로서의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09
깨가 서 말’ ‘가을 전어, 며느리 친정 간 사이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와 같은
속담
을 들어 봐도 전어의 제철은 가을이다. 흔히 가을 전어가 맛있는 이유를 봄철 산란기 이후 여름 내내 왕성한 먹이활동으로 체내에 축적한 지방 때문으로 설명하곤 한다. 과연 이 말은 사실일까.실제로 생선의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08
달려드는 까마귀를 다리로 휘감아 물속으로 끌어들인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우리
속담
중에도 “오징어 까마귀 잡아먹듯 한다”라는 말이 있는 것을 보면 이런 생각은 동양문화권에서 꽤 보편적이었던 모양이다. 이보다 더욱 황당한 이야기도 있다. 옛 문헌을 보면 까마귀가 변해서 오징어가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07
Träume sind Schäume.‘꿈은 물거품과 같다’란 뜻의, 단어 각운의 맛을 살린 독일
속담
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거품은 ‘덧없음’을 상징하는 듯하다. 풍성한 것 같지만 속이 텅 비어 있고 그나마 시간이 지나면 방울이 하나둘 터지면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거품은 열역학적으로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06
유전적 본능은 속일 수 없다는 뜻으로 ‘게 새끼는 집고 고양이 새끼는 할퀸다’라는
속담
이 있다. 게의 잘 집는 습성을 빗댄 말이다. 재주가 없는 사람을 앞에 두고서는 ‘게 꼬리 같은 놈’이라고 손가락질을 한다. 배가 꼬리 모양으로 짧게 퇴화한 데서 나온 표현이다. 사람이나 동물이 괴로울 때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04
뇌 부위도 같다.너의 고통이 나의기쁨?‘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옛
속담
은 이런 인 간의 옹졸한 마음을 한 문장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남이 잘 되는 걸 보고 느끼는 ‘고통’이 단지 비 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진짜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라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일본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03
라면을 끓여 먹는 건 금기겠지만 오늘 하루만은 넘어가자.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는
속담
도 있지 않은가.물_왜 평상시 액체일까라면 하나를 끓이려면 냄비에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할까. 얼큰한 맛이 일품인 ‘S라면’의 포장지에 있는 조리법(요리에 자신이 없을 땐 조리법을 충실히 따르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