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만드는 행위를 일절 금지시키기도 했다. AI는 방대한 양의 법조문과 판례, 사건 관련 기록, 문서 등을 읽고 기억하고 추론해야 하는 법률 업무에 큰 도움이 된다. 판사나 변호사까지도 챗GPT의 유혹에 빠져드는 이유다. 복잡한 법률 문서를 이해해 법적 판단을 내리고, 판결문까지 작성할 수 있는 AI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뤼튼테크놀로지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등 10대 지표를 활용해 분석했다.그 결과 GPT-4는 적절성과 대화 참여도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완결성에서 GPT-4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대화하듯 정보를 찾을 땐 GPT-4가, 완성된 글을 작성할 땐 하이퍼클로바X를 이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뜻이다. 박 연구리더는 “KLAUD를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자리가 늘어날 때마다 5만 달러(약 6500만 원)를 추가로 더 받는다. 그러다 보니 전 세계 기록 싸움이 돼버렸다. 각개전투가 된 것이다. 희귀한 숫자를 발견해 큰 주목을 받는 것도 영광스러운데, 이름도 오래 남는 것이다. 심지어 각 참가자나 팀별로 얼마나 자주 GIMPS에 참여하는지 순위를 매겨 GIMPS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유기 물질이 지구 내부 깊숙이 끌려 들어가게 됩니다. 다이아몬드에 이런 하강 여행의 기록이 담긴 겁니다. 그리고 120~250km 깊이에서 만들어지는 다이아몬드에 지구 표면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은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던 35억 년 전 지구엔 이미 판 구조론이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었다는 증거가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개씩 세 줄로 늘어놓아 5라는 소수로 15를 만들 수 있다는 기록을 남겼다. 남아 있는 기록에 따르면 인류가 본격적으로 소수를 연구 주제로 삼은 시기는 고대 그리스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소수를 이용해 어떤 수든 만들 수 있다는 성질을 신비롭게 여겨 소수를 모든 수의 근원으로 여겼다. 만물이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구했다. 이런 열정 덕분에 GIMPS가 전 세계 참가자를 참여도에 따라 줄을 세울 때 60위를 기록한 적도 있다. 아직 최 씨는 메르센 소수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런데도 여전히 매일 컴퓨터를 켤 때면 GIMPS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는 “꾸준히 관심을 두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면서, “평범한 ... ...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상 콘텐츠를 암호화해 그 암호키를 복제할 수 없는 영역에 기록하는 원리다. DVD를 복사하더라도 암호키 자체는 복제할 수 없으므로 복사한 DVD는 재생이 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이 암호를 풀어서 복사한 DVD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 ...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지의류가 있는 영국 스코틀랜드의 케언곰 국립공원에서 일부 지의류의 반사 스펙트럼을 기록해 자외선 흡수 정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순록이끼라고도 불리는 사슴지의(Cladonia rangiferina)가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슴지의는 순록의 주식으로, 회백색을 띠고 있어 하얀 눈 속에서는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전압을 걸어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를 채우거나 비워 데이터를 기록한다.이동식 저장 장치인 USB 메모리부터 SD카드, SSD(Solid-state Drive)에 이르기까지 최근 급격히 널리 쓰이는 저장 방식이다. < DNA > 정보 밀도: 5.49×1015bits/mm3DNA 저장 방식은 2012년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지질이나 암반의 성질을 조사하는 거야. 나는 바다 아래 지층의 구조, 암석 종류, 지형을 기록하고 해저 자원은 어떤 것이 매장되어 있는지 조사했어. 네 업적이 궁금해지는걸? 탐해 2호는 매년 150일 이상 바다를 누볐어. 우리나라 바다뿐만 아니라 해외, 주인이 없는 바다인 공해까지 진출해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