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달"(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포탈을 탐사하는 우주비행사의 이야기다. 주인공이 유사한 설정의 기존 캐릭터들과 달리, 우주를 열망하며 꿈을 찾는 성격이 아니라는 점이 인상적이다. 우수상 작품인 민이안 작가의 ‘타디그레이디드 피플’은 SF의 오랜 테마 중 하나인 기계화된 인간들의 미래 사회에, 혐오와 차별이란 시의성을 ... ...
-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10년 충남 태안 마도에서 발굴했던 마도2호선 안에서 청자 매병 2점을 발견했어요. 매병에 달린 대나무 조각인 죽찰에는 “개경의 도장교 오문부에게 참기름과 꿀을 담은 매병 ‘준(樽)’을 보낸다”는 문구가 적혀 있었죠. 이전에는 매병이 꽃을 담는 용기 정도로 여겨졌는데, 문구를 통해 고려시대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달았다. 첫 문제는 수학 교사, 수학자 등 23명이 수시로 댓글을 달면서 37일 만에 풀었다. 그런데 이후 차례로 폴리매스 문제가 발표됐지만, 3년 동안 성과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던 2013년 6월 폴리매스에서 장 교수의 이름이 다시 등장한다. 수학계를 깜짝 놀라게 한 장 ... ...
- [이달의 과학사] 1861년 1월 15일, 승객을 위한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작은 힘으로 물건을 움직일 수 있는 도르래의 원리로 움직였죠. 그러나 엘리베이터에 달린 밧줄이 끊어지면 엘리베이터가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오티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벽면을 톱니 모양으로 만들었습니다. 엘리베이터 천장에는 밧줄과 연결된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수 있는 AI 판사는 방대한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 특성(시각, 청각 등 여러 감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특성)과 최신 법률, 판례를 검색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응답하는 능력을 동시에 갖춘 ‘하이브리드 AI’(예를 들면 RAG-multimodal GPT)일 것이다. 예전엔 상상도 ... ...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마약 감정이다. 마약 검출, 마약 지문 연구, 신종마약 파악 등 전범위에서 시시각각 달라지는 마약 범죄 패턴에 대응하고 있다. 미디어에서 마약을 복용한 캐릭터가 수사기관에 복용 사실을 감추기 위해 머리를 염색하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다. 모발에 마약의 흔적이 남으니, 염색약으로 손상을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중 가장 큰 소수다. 무려 2486만 2048자리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읽는 데만 서너 달이 걸리며, A4 용지 한 장에 숫자가 4만 4000개 들어가도록 글자 크기를 작게 인쇄해도 무려 565쪽의 책이 나오는 숫자다. 소수니까 어떤 수학자가 찾았겠거니 싶겠지만, 2018년 12월 7일 미국에 사는 당시 35세의 IT .. ...
-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낮아졌죠. 지난해 11월, 파나마 운하청은 “2023년 10월은 1950년 이후 73년 만에 가장 건조한 달”이라고 밝혔습니다. 파나마 운하청은 지난해 9월부터 물의 양을 고려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의 수와 무게를 줄여왔어요. 기존에는 하루에 평균 36척을 통과시켰지만, 지금은 하루 통행량을 3 ... ...
- [이달의 과학사] 1915년 1월 5일 우유갑 특허 승인. 우유, 유리병이 아닌 종이에 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약 100년 전만 해도 우유는 우유갑이 아닌 유리병에 담겨 판매됐어요. 유리병은 원통형이기 때문에 여러 층으로 쌓아서 많은 양을 운반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또 운반 과정에서 유리병이 깨져 우유가 샐 수 있는 위험도 있었어요. 1915년, 이 문제를 해결할 우유갑이 탄생했습니다. 미국 오하이오주에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궁금해졌어요. 그는 당시 땅의 크기를 정밀하게 재던 전문가에게 그림자를 조사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기술자는 땅 위에 곧은 막대기를 하나 세우고, 그림자의 길이를 쟀어요. 하짓날 정오의 알렉산드리아에 비치는 햇빛이 막대기와 이루는 각도는 약 7였습니다. 에라스토테네스는 이 사실을 통해,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