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문
텍스트
정문
출입문
본증서
이 서류
원작
d라이브러리
"
본문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네모꼴 글씨는 글자의 모양에 상관없이 같은 면적의 네모꼴 안에 들어가기 때문에
본문
체로 적합하다. 또한 네모꼴 글씨는 훈민정음의 원리를 따른다. 현재는 한글을 모두 가로로 쓰고 있지만, 처음 한글을 만들었을 때에는 세로쓰기였다. 세로쓰기로 쓴 모든 한글은 네모꼴이었다.반면 탈네모꼴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태양계에서 가장 온도가 높고 중력이 강한 태양. 여기에 차갑고 부서지기 쉬운 혜성이 돌진하는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을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관측위성 SDO(Solar Dynamics Observatory)가 작년 7월 태양에 접근했던 혜성이 소멸하는 현장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혜성이 태양 표면을 가로지르고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 프롤로그에 이어지는 1파트의
본문
은 인포그래픽만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들어가 보세요.http://science.dongascience.com/articleviews/article-view?acIdx=11324&acCode=7&year=2012&page=7“한 끼의 양식을 위해/ 집채만한 파도를 넘고/ 죽음을 넘고/ 섬으로 섬으로 ...
교과서 100% 활용한 논술 대비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배경, 생활 속의 예와 같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내용을 앞부분에 먼저 제시하고,
본문
에서 개념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교과서로 개념을 학습할 때 처음에는 교과서를 한 번 정독하는 것이 좋다. 정독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흐름을 잡고, 그 흐름을 하나하나 따라가며 주요 내용을 이해해 ... ...
내셔널 트레져, 보물 사냥꾼의 운명을 좌우하는 암호 어떻게 푸나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만나게 된다. 함께 풀어보는 오텐도프 암호다음은 수학동아 7월호 83쪽 xnote의 일부다. 이
본문
에 숨겨진 암호는 무엇일까? 감동 있는 영화 ‘글러브’영화 ‘글러브(Glove)’의 주인공 김상남 선수는 충주성심학교 선수들에게 글러브의 공식을 가르쳐주며 자신의 사랑이 가득 담긴 마음을 전한다.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우선 소재로 시작해서 관련 내용을 풀다 보면
본문
에서 주제가 드러날 수 있다. 즉
본문
뒷부분에 핵심을 담는 식으로 구성하면 된다.일기의 마지막은 자신이 느끼고 생각한 것을 적으면서 각오나 다짐으로 간단하고 명확하게 마무리하면 좋다. 일기에 생각이나 느낌은 빠지고 사실적인 내용만 담는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편집자 주 -
본문
에 나오는 ‘폭풍’은 ‘폭우와 우박을 동반한 폭풍 (사나운 바람)’을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스톰’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올해 미국에서는 6월까지 1330여 개의 토네이도가 발생했고 520명 이상이 사망했다. 미주리 주의 한 도시에서만 130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있었다. 지난 ... ...
과학동아가 확 바뀝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자연스럽습니다. 눈부심이 적어 글자를 읽기에도 훨씬 편합니다.둘글자 를 키웠습니다
본문
기사 글자 크기를 키워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기존보다 시원하게 기사가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 대신 행간은 조금 줄여 기사량은 줄어들지 않도록 조정했습니다. 표지 제목도 키워 한 눈에 어떤 기사인지 알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제기하기도 한다. 각 종교가 살펴본 진화론에대한 시각도 소개한다. 인용된 언급은
본문
안에 출처를 명시했다.하나, 진화론은 절대 옳은가셔머 vs 굴드 vs 도킨스 vs 최재천과학주의 운동단체 ‘회의주의 학회’를 설립하고 과학저널 ‘스켑틱’을 만들어 사이비 과학, 창조론, 미신에 맞서 싸우고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논문의 제목은 ‘월경 동기화와 억제’로 얼핏 봐서는 무슨 얘긴지 잘 모르겠다.
본문
을 읽어보면 여대 기숙사에 함께 지내는 여학생들의 월경주기가 같아지고(동기화) 한 주기의 기간이 길어진다(억제)는 내용이다. 이 논문이 주목을 받은 이유는 이런 현상의 배후에 인간 페로몬이 존재할 것이라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