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찬드라얀 3호, 무엇을 찾았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사이 프라그얀을 싣고 온 비크람은 내부에 설치된 10개의 온도 센서를 활용해 달 지층의 표면부터 8cm 깊이까지 온도를 쟀어요. 그 결과, 표면은 영상 50℃였던데 비해 불과 8cm 깊이에선 영하 10℃까지 떨어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이진 ... ...
- 달 남극, 내후년엔 사람이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달에 우주인을 착륙시키고 2020년대 후반까지 달 남극에 우주인이 머물 수 있는 기지를 설치한다는 계획이에요. 우리나라 또한 NASA와 함께 아르테미스 미션에 참여해 2024년 달 탐사선에 달 표면의 입자를 분석할 ’LUSEM’을 함께 실어 보낼 예정입니다. 달 기지에서 우주인이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 ...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한국전력은 경기도 흥덕 변전소와 신갈 변전소 사이 1km 구간에 초전도 케이블을 설치했어요. 하지만 현재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초전도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보내려면 냉각 장치로 케이블 내부의 온도를 영하 200℃ 이하로 낮춰야 하는데, 냉각 장치를 운영하는 데 꽤 큰 비용이 ... ...
- 새만금 간척지, 농사도 짓고 도시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것을 최대한 막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새만금 간척지에는 태양광 발전 시설도 설치돼 있으며, 사람들이 거주하며 생활할 수 있는 새만금의 첫 도시인 ‘스마트 수변 도시’가 2027년까지 개발될 예정이에요. 간척지에 도시를 만들려면 건물을 많이 짓게 되고, 건물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 ...
- 물에 잠긴 목포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수위 차이를 조차라고 해요. 목포에는 영산강하굿둑이 있습니다. 하굿둑은 강의 입구에 설치돼 바닷물이 강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만조 때는 둑 바깥쪽에 바닷물이 쌓여 수위가 높아지지요. 목포에 많은 비가 내린 7월 24일 밤은 만조였습니다. 둑 바깥쪽에 바닷물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햇빛을 이용해 움직인다! 태양광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000년대에 들어 태양광 발전이 친환경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전 세계 곳곳에 태양전지판이 설치됐습니다. 하지만 태양전지는 20~25년이 지나면 수명을 다해 쓸 수 없어 버려지곤 합니다. 7월 20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얀송셴 교수팀은 다 쓴 태양전지에서 은을 뽑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하구, 산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삼각주나 갯벌이 생기기도 합니다. 보통 하구에는 하천 관리 시설인 하굿둑이 설치됩니다. 바닷물이 강 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고, 물의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예요. 우리나라에는 1981년 완공된 전라남도 영산강하굿둑을 비롯해 낙동강하굿둑, 금강하굿둑 등이 있습니다 ... ...
- [숫자로 보는 뉴스] 윙윙~ 모기 살려! 모기가 3/10만큼 줄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뿜어내서 유인한 다음, 기계 안으로 들어온 모기의 수를 자동으로 세요. DMS를 곳곳에 설치해두면 특히 어디에 모기가 많은지, 갑자기 어떤 곳에 모기가 많아졌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지요. 이렇게 모기의 수를 분석하면 살충제★를 모기가 많은 곳에만 뿌릴 수 있어요. 또 언제 얼마만큼의 살충제를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입자로 위치를 파악한다고? 연구팀은 6층 건물의 옥상에 4개의 뮤온 검출기를 설치했어. 그 후 사람이 직접 수신기를 들고 지하 복도를 왔다갔다하며 사람의 위치를 추적하는 실험을 했지. 연구팀은 6층의 검출기를 거쳐 지하의 수신기에 도착한 뮤온 입자의 경로를 확인했어. 옥상의 검출기를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전파를 지구의 원하는 곳으로 보낼 수 있었습니다. 송신기에는 총 32개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어요. 각 안테나에서 방출된 전파가 특정 지점으로 모이면서 더해져, 전파의 세기가 먼 거리의 지구까지 올 수 있을 정도로 커졌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손봉원 박사는 “컴퓨터로 각 안테나에서 전파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