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d라이브러리
"
숙주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오랜 세월
숙주
생물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
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체계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본 것처럼 그간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등장에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시해왔지만,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보자. A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a1~ a8)과 B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b1~ b8)이 동시에
숙주
세포 안에서 복제를 시작하며 서로 섞이게 된다. 이때 이론적으로는 256(2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탄생할 수 있다. 실제로 가장 독성이 강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종은 19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는 ACE2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가 결합하며
숙주
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숙주
는 섬모 기관지 상피세포와 폐포 안의 2형 상피세포고,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
는 비섬모성 기관지 상피세포와 2형 상피세포라는 차이가 있다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모기는 바이러스 매개체 아냐 날씨가 더워지고 모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코로나19 확진자를 문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면 감염이 된다는 얘기가 퍼지고 있다. 그러나 모기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없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병원성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
로 삼는 세포를 먼저 배양한 다음, 그 위에 바이러스를 심어 증식시켰다. 과거에는 수십 일이 걸리는 과정이었지만, 현재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세포에 효율적으로 감염시킨다. 이런 ‘쉘 ... ...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STEP ①
숙주
세포 탐색STEP ②
숙주
세포 침투STEP ③ 유전체 복제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STEP ⑤ 바이러스 ... ...
STEP ①
숙주
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
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파의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숲모기는 지카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숙주
는 아니지만, 모기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마신 뒤 다른 사람을 물면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바이러스의 전파력은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적인 영향도 크게 받는다. 일반적으로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면역반응 방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LCMV는 쥐와 사람을
숙주
로 삼아 뇌수막염을 유발한다. LCMV가 몸에 들어오면 T림프구가 이를 인식하고 파괴한다. 이들은 실험용 쥐에 LCMV를 감염시켜 생성된 T림프구를 채취한 뒤, 같은 혈통을 가진 다른 감염된 쥐의 세포와 섞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