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d라이브러리
"
숙주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만드는 유전자였다. 연구팀은 바이러스가 스스로 리보솜을 만드는 건 아니지만,
숙주
인 세균이 바이러스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복제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본래 정해져 있는 상식을 깨부수는 것이 파급력이 있듯, 기존 생물 분류의 관념을 깨는 바이러스 연구 결과들이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보자. A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a1~ a8)과 B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b1~ b8)이 동시에
숙주
세포 안에서 복제를 시작하며 서로 섞이게 된다. 이때 이론적으로는 256(2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탄생할 수 있다. 실제로 가장 독성이 강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종은 19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는 ACE2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가 결합하며
숙주
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숙주
는 섬모 기관지 상피세포와 폐포 안의 2형 상피세포고,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
는 비섬모성 기관지 상피세포와 2형 상피세포라는 차이가 있다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모기는 바이러스 매개체 아냐 날씨가 더워지고 모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코로나19 확진자를 문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면 감염이 된다는 얘기가 퍼지고 있다. 그러나 모기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없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병원성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
로 삼는 세포를 먼저 배양한 다음, 그 위에 바이러스를 심어 증식시켰다. 과거에는 수십 일이 걸리는 과정이었지만, 현재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세포에 효율적으로 감염시킨다. 이런 ‘쉘 ... ...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STEP ①
숙주
세포 탐색STEP ②
숙주
세포 침투STEP ③ 유전체 복제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STEP ⑤ 바이러스 ... ...
STEP ①
숙주
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
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파의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숲모기는 지카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숙주
는 아니지만, 모기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마신 뒤 다른 사람을 물면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바이러스의 전파력은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적인 영향도 크게 받는다. 일반적으로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찾아냈다.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의 표면에 존재하는 지질다당류(LPS·lipopolysaccharide)가
숙주
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킨 것이다.그는 1983년 미국 록펠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선천 면역반응을 주도하는 대식세포와 반응하는 카첵틴(cachectin) 단백질을 연구했다. 카첵틴은 암세포 등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