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구"(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뇌기능 상태를 알 수 있는 뇌파 검사(EEG), 근육 상태를 알 수 있는 근전도 검사(EMG), 안구의 움직임을 보는 안전도 검사(EOG)가 포함됐다. 검사 결과 만데나 사람들은 미국이나 이탈리아 사람들에 비해 깊은 수면 단계인 렘수면 시간이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아, 수면의 질도 아주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경우 일주일에 한번 체온을 올릴 때 수면신호가 나타났다. 심지어 렘수면(빠른 안구 운동을 동반하는, 꿈 꾸는 잠)과 비(非)렘수면이 모두 나타났다. 즉, 여우원숭이는 겨울잠을 자는 동안에도 때때로 인간의 수면에 해당하는 잠을 가끔씩 자고 있었던 것이다.동물들의 신비로운 겨울잠 연구는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스트레칭, 그림 그리기 등 직접 몸을 움직이는 활동 프로그램과, 실제 PTSD 치료에 쓰이는 안구운동민감 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을 응용한기능도 넣었다. 아무 콘텐츠나 보내는 것이 아니라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엄선한 콘텐츠를 보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했다. 조 교수는 “웨어러블 기기를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사실 눈을 이용한 개인 식별 기술 중 가장 먼저 연구된 것은 망막이에요. 망막은 안구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으로,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이지요.망막 뒤쪽에는 모세혈관이 이어져 있어요. 이 모세혈관의 굵기와 모양 등의 무늬가 사람마다 달라서 생체 인식에 이용할 수 있답니다.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참여가 끝난답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도 집단지성으로 탐구할 수 있어요. 쥐 안구에 연결된 복잡한 뇌 신경세포를 완성하는 게임 ‘아이와이어’가 대표적이지요. 원래도 뇌 신경세포를 찾고 뇌 지도를 그리는 작업은 컴퓨터에 설치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진행했어요. 하지만 사람이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눈이 툭 튀어나온 이유는 안구를 감싸는 뼈인 ‘안와’에 비해 안구가 크기 때문이에요. 안구 하나가 뇌 전체의 무게와 같지요.전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해요. 바닥보다 나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답니다. 이동을 할 때에도 나무 기둥 사이를 뛰어다니고, 밤에도 나무 위에서 웅크리고 잠들지요. ... ...
- 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피해를 끼치게 된답니다. 특히 들어온 물질을 다시 배출하는 능력이 없는 폐나, 민감한 안구 점막 등에 독성을 가진 살균제가 닿을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지요.살균제는 생물에게 미치는 독성이나 쓰임새에 따라 크게 방부제, 살균소독제, 보존제, 항생제로 분류해요. 전문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를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첫 번째 사업 대상으로 보고 있다. 시력을 상실할 위기에 놓인 사람의 경우 주사로 안구에 약을 주입해야 한다. 이때 환자가 무의식중에 눈을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몹시 위험하다) 약물로 마취를 하는데, 약효가 들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통스럽다. 김 교수의 마취기기는 조금 큰 볼펜처럼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잔물결이나 얼룩점이 보인다. 이런 차이는 멜라닌세포 때문에 발생한다. 홍채 조직은 안구 속에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멜라닌세포가 풍부한 층으로 돼 있다. 멜라닌세포가 내는 색소는 크게 두 가지인데, 검은색을 띠는 유멜라닌, 노란색과 붉은색을 띠는 페오멜라닌이다. 두 가지 색소의 양, ... ...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먹이를 찾지 못해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정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안구질환 치료나 기초 생명과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