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사"(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한 입] 오리너구리는 오리?너구리? ..,인공지능 분류를 도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삐빅.’ 부르셨습니까, 휴먼! 동물 분류에 어려움을 겪으신다고 들었습니다. 그럴만도요. 전 세계 동물은 약 150만 종이나 됩니다. 수많은 종류의 동물을 분류할 땐 다양한 ... 인공지능 분류를 도와줘Part1. [꿀꺽! 수학 한 입] 의사결정나무 ① Part2. [꿀꺽! 수학 한 입] 의사결정나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 알차게 즐기는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할 수 있습니다. 또 그 나라의 언어를 몰라도 번역기 앱이 있다면 현지인과 충분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아주 낯선 곳에서도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어요. 이번 시간에는 디지털 미디어 기기로 여행을 계획하고 즐기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디지털 ... ...
- AI가 마비환자 생각읽고, 아바타로 대신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그동안은 환자의 시선을 추적하거나 얼굴의 작은 움직임을 인식해 알파벳 정도의 의사를 전달했기 때문에, 소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어요. 하지만 이번 연구로 1분당 78개의 단어를 뇌파에서 글자로 빠르게 변환하고, 뇌 신호를 얼굴 표정 등으로 바꿔 소통이 더욱 자연스러워졌답니다 ... ...
- [현장취재] 어린이들,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 위기를 외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말아 주세요!”김민준(강원 원주시 관설초)제가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이곳 서울 국회의사당까지 온 것은 저의 미래를 지키고 싶어서입니다.저는 매일 학교를 걸어 다닙니다. 등교 시 어떤 날은 비가 많이 오고, 다음날은 반대로 폭염이 오기도 해요. 이렇게 이상한 날씨가 계속되는 건 기후 위기 ... ...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생생히 기억나서” 등 다양한 답변이 나왔지요. 섭섭박사는 1977년 미국의 신경정신과 의사인 앨런 홉스와 로버트 맥칼리가 제안한 활성화-합성 이론을 소개했어요. “우리는 잘 때 비렘수면과 렘수면 상태를 오고 갑니다. 주로 몸은 움직이지 못하지만 뇌는 활발히 활동하는 렘수면 상태에서 꿈을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에드먼드 란돌트의 이름을 따서 ‘란돌트 고리’라고 불리게 되었고, 1909년 전 세계 안과 의사들이 모인 자리에서 인정받으면서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게 되었답니다.란돌트 고리는 정확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져요. 지름이 7.5mm인 원을 그리고, 그 안에 지름이 4.5mm인 원을 그려요. 두 원의 중심은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결과 우뇌에서 직경 1cm의 혈관종을 발견했지요. 바로 수술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의사의 진단을 들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습니다. 다행히 8시간에 걸친 수술 후 진우 학생은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치료를 마친 2020년 그는 박사 지도교수님을 찾아가 중단했던 연구를 다시 하고 싶다고 말했고,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문제는 질병을 특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사례가 적어 환자도 의사도 원인을 알기 힘들다. 질환명을 정확히 진단받는 데만 4~9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는 분석도 있다. doi: 10.1371/journal.pone.0265847 “질환 특정이 힘든 희귀 유전질환 환자의 경우, 유전체 전체를 분석하면 질환의 원인을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장미에 덮어줬던 유리 덮개와 비슷한 모양새였다. 정원에서 화초를 기르는 취미를 가진 의사 A씨는 이 물건을 보자마자 용도를 간파했다. 핫 캡(hot cap)이라고 부르는 이 물건은 봄철 낮은 기온에 식물이 해를 입지 않도록 씌워주는 물건이다. 다 마신 투명한 페트병의 윗부분을 잘라서 만들 수도 있다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뮬레이션을 실행해 그 성능을 통계적으로 검증했습니다. 각 개체들 간의 명시적 의사소통 없이도, 해결이 힘든 항공교통 상황에서 충돌 회피와 응급도 관리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음을 보였죠. 또한 이 분산형 관제가 항공기는 물론 열차, 드론, 자율주행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때 보행자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