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칭했다. 우리는 플로지스톤 이론과 산소 이론의 치열한 경합, 그리고 산소 이론의 최종적인 승리를 기억한다. 그러나 이론들이 만들어지고 널리 퍼질 수 있었던 데는 장비 제작자, 조수 등 수많은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노고가 있었다. ‘화학의 아버지’ 라부아지에만큼이나 이들을 잊어서는 안 될 ...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보여준다. 수학을 이용하면 우리의 삶에 밀접한 것부터 살아보지 않은 미래, 살면서 본 적 없는 외계인도 예측할 수 있다. 물론 모든 게 예측대로 흘러가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예측을 통해 미래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그에 맞는 대책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수학의 쓸모를 무시할 수 없다 ... ...
- “20년 전 제언이 여전히 유효, 이제는 직접 바꾸겠다”_정우성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이 일반회계 시스템 안에서 경직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R&D에 기금회계나 특별회계를 적용해 연구 기간 동안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의 연구비 운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10년 동안 100억을 지원받는 연구를 할 때, 필요한 연구 장비를 마련하는 첫 해에 80억을 쓸 수 있는 예산 시스템을 만드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세기와 방향이 일정한 직류 전기, 다른 하 나는 시간에 따라 전류의 세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교류 전기입니다. 발전소로부터 우리에게 전달되는 전기는 교류 전기예요. 1880년대 후반, 미국의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과 전기공학자 니콜라 테슬라는 전기를 공급할 때 직류와 교류 중 어떤 ... ...
- 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유튜브를 사용하긴 하지만 제 하루의 일과에 영향을 준 적은 없었어요. 이영혜 편집장 새해 들어서 숏츠, 릴스 같은 이른바 숏폼 콘텐츠를 딱 끊었기 때문에 당당하게 도파민 중독이라 아니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대신 롱폼 콘텐츠(15분짜리 영상) 소비와 온라인 ... ...
- 전술의 신 4. 탄탄한 수비진 짜는 팬의 알고리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2022 카타르 월드컵 대한민국과 포르투갈의 16강전 경기에서 손흥민 선수는 수비수 7명을 따돌렸다. 이처럼 극적인 상황은 아니지만, EPL에서도 손 선수가 현란한 드리블로 수비수를 1, ... 공격수에게 직접 가서 공을 뺏는 것보다 공간을 줄여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효과적인 셈이다 ...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유는 윗부분을 더 큰 비율로 줄여 화면에 표시하기 때문이다. 아래로 조준하면 종종 궤적이 잘리므로(원)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며 공격해야 유리하다. 사격을 잘하는 것이 게임에서 이기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브롤스타즈에는 브롤러가 20명이 넘게 있고 맵마다 벽의 모양, 숨을 수 있는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연구해야 하죠. 앞으로 TA 콜라보레이션은 관측 면적을 넓히는 한편,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뽑는 방법을 고안해 보려고 합니다.” 김 교수는 답했다. 출처도, 경로도 미스터리다. 지금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몸을 꿰뚫고 지나가도 우리는 모르고 살아갈 것이다. 초고에너지 우주선을 연구해야 하는 ... ...
- [과동키즈] “이제는 직업을 만드는 시대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런 서비스에는 과학적 사고, 알고리즘 개발, 코딩, 의사결정, 사업 운영을 위한 경제적 지식까지 그의 경험들이 모두 녹아 있습니다. 꼭 맞는 옷처럼 딱 맞는 업무를 하는 것이 신기하다는 기자의 말에 그가 입을 열었습니다. “저와 완전히 똑같은 능력과 경험을 가진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어요. ... ...
- [가상인터뷰] 상처 입은 동료를 치료하는 개미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연구팀은 “마타벨레 개미가 동료를 치료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 사람에게도 의학적인 의미가 있다”고 전했어. 연구팀은 앞으로 다른 개미 종의 경우 상처가 났을 때 어떤 행동을 하는지 살펴볼 계획이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