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착과정"(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런 개미가 우리나라에 들어왔다니 정말 큰일이야. 더 퍼지지 않게 빨리 찾아서 막아야만 해! 그러려면 반드시 여왕개미부터 찾아야 하는데…. 여왕개미야, 어디에 있니~? 여왕개미는 죽었을까, 숨었을까?정부는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9일까지 10일간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기 위한 조사를 계속 ...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존경하는 김은경 선생님, 선생님이 아직 살아계셔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릅니다. 또 무슨 뜬금없는 이야기인가 하시겠지만, 정말 진심에서 나온 말씀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 두고 이 이야기를 시작하고 싶습니다. 어제 자주 가는 박물관 앞에서 우연히 가수 오지은 씨를 보았습니다. 관광하러 오신 ... ...
-
- [특별 인터뷰] 한국 호랑이를 지켜라! 백두산 생태통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국엔 한국 호랑이가 없다?!중국과 러시아가 만나는 중국 길림성 훈춘 지역, 그곳엔 한국 호랑이 약 27마리가 살고 있어요. 본래는 한반도에서부터 러시아까지 이어진 넓은 산지에 한국 호랑이가 정착해 살았지만, 점점 그 수가 줄어들어 한국엔 한 마리도 남아 있지 않아요. 중국 훈춘 지역과 러시 ...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타성의 진화 연구에는 또 다른 천재 한 명의 등장이 예고돼 있다.바로 조지 프라이스. 일찍부터 여러 분야에 천재성을 드러냈던 그는 왜 돌연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을까. 그리고 그 비극의 한가운데에서 홀로 무엇을 발견했을까.1975년 1월 6일, 런던은 춥고 음산했다. 한 공동묘지에서 조용히 장례 ...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음악은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특성이다. 우리가 흔히 ‘노래’라고 표현하는 새 소리도, 사실은 언어에 더 가깝다. 원숭이 등 상대적으로 인류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동물들도 노래를 만들거나 부를 줄은 모른다.도대체 음악은 어떻게 처음 생겨났을까. 학자에 따라, 그리고 관점에 따라 시나리오는 ...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십만 년 전 어느 날, 한 구석기인이 계곡에서 뭔가를 열심히 찾고 있었다. 얼마 후, 냇가의 돌더미 속에서 주변과는 다른 뽀얀 돌을 집어 든 그는 여기저기 힘껏 두들겨 봤다. 쉽게 깨지는 다른 돌과 달리 그 돌은 멀쩡했다. 그 돌을 수렵채집에 이용했더니, 전에 비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작은 응집물질 안에 우주가 있는 거예요.작은 우주가.”응집물질물리 이론가인 김기석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양자물질이 물질에 대한 관점을 어떻게 바꿨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말했다.양자역학이 등장한 이후 물리학은 입자물리학과 응집물질물리학으로 갈라졌다.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 것 ...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과학이라는 건축물을 짓는 데 (여전히 미완성이지만) 기둥이나 벽돌이 된 숱한 발견들이 과연 교과서에 실린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된 상태에서 순탄한 과정을 거쳐 나온 걸까. 지금은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인정받는 결과라도 발견 당시에는 당사자도 그 심오한 의미를 깨닫지 못하거나 중요성을 ...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유전자 끼리끼리’를 핵심으로 하는 유전적 근연도 이론을 확립한 윌리엄 해밀턴은 드디어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런데 얼마 안 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자신의 이론이 다른 사람에 의해, 탐탁치 않은 이름이 붙은 채 소개되고 있었다!지난 시간에 우리는 유전적 근연도 ...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분자 생물학이 이제 막 싹 트던 1970년대 후반, 미국 UC버클리 생화학과의 연구원이었던 웨슬리 브라운(현 미국 미시간대 석좌교수)은 DNA를 이용해 진화 과정을 살펴볼 방법을 고민 중 이었다. 고속 DNA 서열 해독법은 아직 없었고, 유전자 계통도를 분석할 고성능 컴퓨터도 없던 시절이었다.그가 선택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