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으)로 총 1,28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달로! 탐사선 주스Part1. 주스, 정체를 밝혀라!Part2.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Part3.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 용어 설명*위성: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조치를 취하고 외출하라”고 권유했어요. 2022년, 미국 웨스턴뉴잉글랜드대학교 약학과 존 페주토 교수팀은 포도 섭취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질환에 면역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어요. 연구팀이 29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2주 동안 매일 포도를 먹게 했더니, 3분의 1 정도의 참가자에게 자외선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상은 기초과학을 지원해야하는 이유와, 기초과학이 얼마나 국민의 건강과 국가의 생존에 필수적인지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필자소개남재환. 보건연구사와 보건연구관으로 근무했으며,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이라는 나비효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괴델의 난해한 논증을 따라갈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위대한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은 괴델의 발표를 모두 이해하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노이만은 중얼거렸습니다. “끝장났군요!” 노이만의 말대로였습니다. 끝장이 난 것은 다름 아닌 힐베르트의 작업이었습니다. 그날 괴델이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세상의 빛을 볼까요. 답은 2019년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고(故)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교수의 일화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1979년 구디너프 교수가 리튬이온 배터리 특허를 막 냈을 때는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학교도 그 가치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의 ... ...
- 수학의 도시 프린스턴으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아인슈타인, 쿠르트 괴델, 앨런 튜링, 존 내시, 테렌스 타오. 아마 한 번쯤은 들어봤을 수학자와 과학자인데요. 출신도, 나이대도 제각각이지만, 이들을 이어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머물렀다는 겁니다. 프린스턴은 뉴욕시에서 차로 1시간가량 떨어진 인구 3만여 명의 ...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장식돼 있어요. 이것은 과거 프린스턴대 교수였던 베블런의 아이디어였다고 해요. 또 존스홀엔 아인슈타인의 사무실도 있어요. 1939년 고등연구소 주 건물인 퍼드홀이 설립되기 전까지 고등연구소 수학과 구성원도 프린스턴대 수학과 건물을 함께 썼기 때문이에요 ... ...
- [Levle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날 기념! AI 방정환 선생님의 미디어 사용 선언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개발한다는 소식을 전했다가 사람들의 반발에 취소된 적도 있죠. 미디어 과의존을 심화시킨다는 주장과 어린이용 미디어의 개발은 필요하다는 의견이 붙었죠.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어린이들이 14세 이상 사용 가능한 틱톡 등의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그 결과 필터링 되지 않은 부적절한 자료를 볼 ... ...
- [SF소설] 플로리다와 나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플로리다. 왜 사랑은 돌려받을 수 없는 걸까. 처방을 마친 의사가 플로리다를 ‘큐어링 존’이라는 라벨이 붙은 유리 상자에 집어넣고 진료실을 나갔다. 조명에서 나오는 파란빛이 플로리다 위로 쏟아졌다. 유리판에 이마를 댔다. 얇은 유리 너머로 옅은 빛이 일렁였다. ‘선’이라는 네임스티커가 ...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생길 때 초전도 현상이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전자가 쌍을 이루는 현상은 기존 전자기학 지식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서로 같은 전하를 띄는 두 전자는 서로 밀어내는 힘을 갖기 때문이다. BCS 이론을 만든 세 과학자는 쿠퍼쌍은 원자핵의 진동(포논)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했다. 음전하를 띠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