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태양의 500조 배 역대 최대 밝기 등극한 퀘이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doi: 10.1038/s41550-024-02195-x 주인공 퀘이사 ‘J0529-4351’은 남반구의 화가자리에 위치하며
지구
로부터 약 120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다. J0529-4351은 무려 44년 전인 1980년에 처음 관측됐다. 이후 1998년과 2022년에도 관측됐지만, 너무 밝아 퀘이사가 아닌 가까운 별로 분류돼 퀘이사 명단 ...
[그래픽] 강력한 유산소 운동 '하이 니'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점차속도를높인다.무릎을최대한올릴수있게 팔을 휘둘러 추진력을 더하면 심폐
지구
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지방도 빠르게 연소된다. *‘DK HIIT의 과학’은 95가지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동작을 해부학 그래픽으로 설명하는 책이다. 동작을 취할때우리몸의다양한근육이어떻게짧아지고 ... ...
해양오염 지역 밝히는 에르고딕 이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는 바다는 자원의 보고이자 수많은 해양 생물의 서식지다. 하지만 사람들이 바다에 무분별하게 쓰레기를 버리면서 ... 계산 결과가 나왔다. 탄소량이 늘어난다고 반드시 대량 멸종이 일어나는 건 아니지만,
지구
역사에 비춰볼 때 대량 멸종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자리인 적도를 중심으로 초대륙이 펼쳐질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미국 예일대학교
지구
물리학과 연구팀은 그전에 있었던 초대륙이 현재의 세계 대륙과 전혀 다른 위치에서 생겼다가 쪼개졌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리고 암석의 자기 정보를 관찰해 지금까지 나타났던 초대륙이 일정한 각도에 ... ...
경사계로 화산 폭발 감지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전 과거의 화산 폭발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이 있을까? 2021년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지구
과학과 연구팀은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나는 우산 모양의 화산재 구름을 분석해 과거의 화산 폭발 규모를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했다. 이 모형은 먼저 화산 폭발로 생긴 퇴적물의 두께를 분석해 우산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데이터’ 프로젝트도 그중 하나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외계지성체가
지구
의 옛 노래인 ‘노를 저어라’의 가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일종의 ‘언어 사전’을 구성함으로써, 인류 언어의 기본적 특징부터 ‘삶’에 대한 인류의 관념까지 외계지성체에게 전하는 것입니다. 외계지성체는 ... ...
[이달의 과학사] 갈릴레오 갈릴레이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생전 갈릴레이는 지동설을 펼치면서 로마교황청으로부터 큰 반발을 샀습니다. 당시
지구
가 돈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이단 행위로 간주했기 때문이에요. 갈릴레이는 여러 차례 재판을 받고 지동설에 대해 언급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습니다. 결국 갈릴레이는 이단 행위를 하지 않겠다며 지동설을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세월을 살아오며 놀라운 능력을 갖춘 존귀한 존재이자,
지구
의 수십억 년 역사를 함께한
지구
가족입니다. 우리가 이해하는 바다생물의 비밀은 극히 일부입니다. 바다생물에 대한 과학적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지 않는 환경보호 인식을 가졌으면 합니다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도 된다. *영구동토층에 봉인돼 있던 메탄가스가 방출되면서 다시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에 영국 해양물리학자 피터 와드햄스는 녹아내리는 얼음의 속도를 예측하기 위해 방정식을 세웠다. 그는 북극의 얼음이 녹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온도라고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몇 시간 혹은 며칠 전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미국 브라운대학교
지구
환경 및 행성과학과 연구팀은 산사태 예측에 주로 사용하는 ‘핀볼 모형’을 이용해 단층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예측했다. 공이 여기저기 부딪히며 이동하는 ‘핀볼 게임’에서 따온 단어로, 돌이 핀볼처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