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받아들여야 할지 모른다.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기술, 단점이 큰 과학을 비판하는 것은 참 쉽다. 하지만 인류의 가장 큰 과제, 이를테면 기후변화나 암 등의 난치병,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을 손쉽게 해결해주는 과학 기술이 등장한다면 어떨까. 대부분의 사람이 그 기술의 한계보다도 성과에 더 ... ...
- [Art Math] 수식과 그래프로 캔버스 채우는 화가 김현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관계를 맺는 것 같아요. 이게 현우에게 소중한 행위였다는 걸, 꽤 나중에 알아서 참 미안했어요.”(김 씨) #5 수학은 ‘므네모시네’ Q. 작가님께 수학은 무엇인가요?A. 수학은 ‘므네모시네’입니다. 므네모시네예요. 므네모시네? 생소한 이름에 당황했다. 이내 김 작가로부터 므네모시네가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유령 은하의 심장이 감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않는 중간 질량 블랙홀들도 바로 이 핵 성단 속에 숨어있을지 모른다고 추측하기도 한다(참고로 중심에 핵 성단과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함께 있는 은하는 드물다. 그런데 그 어려운 걸 우리 은하가 해냈다! 우리 은하 중심에는 두 천체가 모두 있다). 가벼운 은하의 매력, 빛나는 심장 2022년 7월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띠는지도 관찰했다. 결과는 놀랍게도 오답을 낸 참가자의 뇌 활성도가 정답을 맞춘 참가자보다 높았다. 자신의 답이 틀렸을 때 호기심이 더 커지고, 기억력은 강화된다는 뜻이다. 생존에 필요한 정보와 기술을 학습하고 충분히 발달시키기 위해 인간은 청소년기가 다른 동물들보다 상대적으로 길다. ... ...
- [에디터 노트] Made in Korea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독자도 기존보다 쉽게 의견을 주실 수 있도록 작은 창구를 마련했습니다(15쪽 참고). 참, 그리고 새로운 소식이 하나 있습니다. 과학동아가 3월부터 진중문고에 들어갔습니다. 전국의 군부대 책꽂이에 꽂힌다는 뜻입니다. 젊고 창창한, 그러면서도 과학을 사랑하는 청년들을 더 자주 만날 수 ...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인문학자 고대 그리스에서 무한으로 어떤 탐구를 했는지 짧게 살펴봤는데요. 오늘날 수학자는 무한을 어떻게 정의하나요? 수학자 앞서 무한은 수의 개념이 아니라 영 ... n = k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한 뒤 n = k + 1이 성립함을 보이면 어떤 무한한 계산이라도 참과 거짓을 증명할 수 있지요 ... ...
- 오늘 나의 칼로리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볼까요? 오늘 먹은 음식의 열량을 모두 더하고, 운동으로 사용한 열량을 빼면 되지요. 참, 생명을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한 기초대사량★을 함께 계산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아래 표에 나의 하루 칼로리를 기록해 보세요.*용어정리기초대사랑 : 사람이 살기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예요. ... ...
- 세 번째 질문 I 우리는 진정으로 무한을 아는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참인지 거짓인지 증명할 수 없다’가 증명돼 있습니다. 증명할 수 없다는 게 증명됐다니 참 이상하지요. 어떻게 보면 우리가 무한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무한은 아직도 아니 어쩌면 영원히 이해할 수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영상으로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DzMpBU2mt3 ..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스스로를 객관적인 기준으로 삼길 참 좋아한다. 우리는 흔히 개의 후각 능력이 인간의 몇 만 배라거나 박쥐의 가청 주파수 영역이 인간보다 넓다는 사실을 이 동물들의 특별한 능력으로 강조하곤 한다. 물론 이런 표현에는 개나 박쥐가 인간보다 뛰어나다고 인정하는 의미도 있다. 하지만 동시에 ... ...
- 유재석이 꿈이었던 학창 시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가득하던 봄날, 우리는 대학생이 되어 다시 만났습니다. 불과 몇 번의 만남으로 우리는 참 다른 종류의 사람이라는 것을 금세 느꼈습니다. 김 교수는 여전히 새로 만난 사람과도 붙임성이 좋고, 낯선 것을 배우는 일에 두려움이 없었습니다. 어떤 학과의 행사에서도 볼 수 있고, 점심 식사 후 다음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