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d라이브러리
"
침투
"(으)로 총 6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마다 찾아오는 동물 전염병, 살처분 대신 백신 접종 고려할 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이곳에 도달하기 전에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걸러지기 때문에 다량의 바이러스가
침투
하지 않는 한 인체에 감염되지 않습니다. 다만 일단 감염되면 34.7%라는 높은 치명률을 보입니다.일반적인 AI와 달리 고병원성 AI가 문제인 이유는 인류와 가장 친숙한 가금류인 닭과 칠면조에 치명적이기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TMPRSS2)를 이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을 거쳐 인체세포막에 융합하며
침투
한다. 임페리얼칼리지런던의 보고서에 따르면, P681H 변이는 인체세포 표면 가수분해효소가 결합하는 부위에 자리잡고 있어 이 과정에 변화를 일으키고 바이러스와 세포막의 융합 메커니즘을 바꿀 잠재성이 있다 ... ...
[기획] 코로나19 비켜! mRNA 백신 납신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기존 백신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를 직접 투여하지 않고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
할 때 쓰는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설계도’를 넣어 몸속에서 단백질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점이 다릅니다. mRNA 백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노버트 파르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교수는 “이론적으로 이 ...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강수가 늘어나 홍수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또 연안지역의 지하 대수층에 바닷물이
침투
해 지하 수위가 변하거나 지하수가 오염될 수도 있다.해수면 상승은 그저 연안지역에 바닷물이 넘치는 것으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화산과 지진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약 1만 년 전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박쥐는 옮기고 닭은 안 옮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와 숙주세포의 결합력이 약하면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 쉽게
침투
할 수 없다. 실제로 닭이나 돼지는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페럿이나 박쥐의 ACE2 단백질 돌연변이는 오히려 바이러스와 숙주세포의 결합력을 강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유전물질이 제거된 아데노바이러스는 각종 연구와 의약품에서 DNA나 RNA 등을 세포 내부로
침투
시키는 운반체로 널리 사용된다.아스트라제네카와 존슨앤드존슨은 아데노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일부 제거하고 이 자리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항원(스파이크 단백질) 부위의 유전자를 넣어 백신을 ... ...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물질 중 ‘P11’이라는 녹농균의 유전자 조각이 예쁜꼬마선충의 생식 세포로
침투
하지.
침투
한 P11 유전자 조각은 예쁜꼬마선충의 신경 세포에서 행동을 조절하는 ‘마코일린’이라는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방해해. 연구팀은 P11로 인해 마코일린이 만들어지지 않는 예쁜꼬마선충의 경우, ... ...
[진흙] 생물이 바글바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환류 지역은 퇴적물이 매우 천천히 쌓이는 곳이라 물속의 산소가 퇴적층에 조금씩
침투
했을 것”이라며 “덕분에 이 호기성 미생물은 최소한의 산소만으로도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용어정리* 남태평양 환류 : 호주의 동쪽, 남극의 북쪽 페루의 동쪽, 적도를 ... ...
[질문하면 답해 ZOOM]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7호
‘히루딘’을 사람 몸에 주입해요. 그러면 우리 몸은 히루딘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고
침투
를 막는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요.간지러움은 이 면역 반응 탓에 생겨요. 면역 과정에서 피부 근처에 분비되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간지러움을 느끼게 하거든요. 히스타민은 꽃가루와 미세먼지 같은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소리가 흘러나오고 있었다. 소리가 들리는 곳을 따라갔더니 나로호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
하지 않도록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멍이었다. 더 자세히 들여다보니 공기 구멍 입구에는 얇은 실 하나가 끼어 휘날리고 있었다.휴~, 그제야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외부 소음 등을 차단하기 위해 나로호 내부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