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종국
d라이브러리
"
파국
"(으)로 총 51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바닥이 드러난 자원들 피폐해진 환경 등이 지역간의 갈등과 전쟁을 야기하고 인류문명을
파국
으로 몰고가지 말라는 법은 없다. 사실 20세기 중반에 원자력이 실용화되지 않았더라면 이같은 예상이 틀림없는 현실로 좀더 빠르게 다가왔을지도 모른다. 「질량은 에너지다」아인슈타인은 1905년 그의 ... ...
'과학'도 거짓말 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허위감정 의혹사건은 그런 의미에서 과학의 한계가 무엇이며 과학이 맹신이 될 때 어떤
파국
이 올 수 있는지를 보여준 한 예라 할 수 있다.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바로는 문제가 된 국과수 문서감정실의 경우 요원 4명이 작년 한해 4천여건의 문서를 감정했다고 한다. 한사람이 하루평균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은하제국에는 수세기에 걸친 붕괴의 조짐이 점차 표면화되기 시작한다.이 엄청난
파국
을 감지한 유일한 사람은 해리 셀던이라는 심리역사학계의 최고 권위자였다. 심리역사학이란 통계수학과 집단 심리학을 응용한 학문으로 개인의 행동예측은 불가능하지만 대집단의 추세는 예측가능한 커다란 ... ...
2001년 5월1일의 일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인가? 상상으로 그려본 2000년대의 환경문제는 지금 우리가 무언가를 하지 않는다면
파국
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킨다."물이 왔나 나가봐." 남편은 아침부터 부은 목소리로 소리쳤다. "오늘도 물이 안왔어요. 수돗물이라도 그냥 먹어야겠어요." "수돗물을 어떻게 먹어. 다른 집에서는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르기까지 멀고 가까운 곳, 크고 작은 곳을 모두 기재해 빠뜨린데가 없었다. 이른바 구라
파국
은 서역에서 가장 동떨어진 먼 곳에 있었는데, 그 거리가 중국에서 8만리나 되었다. 구라파는 오랫동안 중국과 통하지 않다가, 명나라 때에 이르러 비로소 두번 입공(入貢)했다.구라파 땅의 경계는 남쪽은 ... ...
고3병의 예방과 치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노동을 하더라도 자기 멋대로 살아보고 싶은 충동도 받았다. 그러던중 자기의 인생을
파국
으로 몰고가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병원을 방문하게 된 것이다.이 세상에서 누구의 지지도 못받고, 인정도 못 얻을 때는 이와 같은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필자는 학생의 이러한 심정에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뿐이기 때문이다. 즉 수소는 대기권에 유독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므로 결국 기후상의
파국
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또 전기분해에 의해 물에서 생겨난 수소는 연소한 다음에 다시 물로 된다. 수소에너지 연구자들은 또 "미래의 에너지 담당자인 수소가 갖고 있는 생태학적인 장점은 영원하며,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상이 되면 백색왜성의 상태를 넘어 계속 수축한다. 중력붕괴가 극한에 달할 때 단번에
파국
적인 폭발로 이어진다. 초신성은 얼마나 큰 질량의 별이 폭발하는가에 따라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뉜다. Ⅰ형의 초신성은 작은 질량의 별이 폭발하는 경우로, 항성과 쌍동이 별을 이룬 백색왜성에서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생태계를 지켜주는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하고 있다. 남극의 상공으로부터 시작된 이
파국
의 징조는 현재의 소비생활이 그대로 유지되는 한 전세계로 번져나갈 것이 확실시 된다.오늘날의 환경문제는 어느 한 나라만에 국한되지 않는다. 석탄을 태워 전기를 생산하면 한 도시는 편안하게 할 수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할 만하다.● 남극에서 보이는 파멸의 징후지구의 남극지역 위의 주의할 만한 현상은
파국
적 오존분해가 이미 거기에서 시작되었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1966년 이래 그곳에서 영국 남극조사팀(British Antartic Survey)의 기상학자들은 '아르젠틴' 섬과 '핼리' 만의 관측소에서 성층권오존우산의 구멍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