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계
국경
frontier
d라이브러리
"
프런티어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많은데도 생활에 큰 변화가 곧 닥칠 것처럼 묘사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유비쿼터스
프런티어
사업단 유승화 교수는 말한다. 유 교수는 “너무 호들갑을 떨다가 IMT2000처럼 자칫 보랏빛 청사진만 그린채 실리를 잃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프라이버시권 침해 문제도 여전히 미해결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02년 7월 21세기
프런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발족시켜 본격적으로 단백질연구 대열에 진입했다. 그러기에 인류에게 남겨진 마지막 숙제인 단백질의 비밀을 찾아 출항한 ...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로직스, 필립스, 듀퐁 등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1세기
프런티어
사업의 일환으로 차세대디스플레이개발사업단에서 전유기디스플레이(all organic dispaly) 구현을 위한 연구가 추진중이다.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해준 유기물의 결정적인 매력은 전도성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수 있는 분야이자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인 셈이다.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런티어
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는 차세대 정보디스플레이 기술개발사업단은 정보디스플레이 산업을 국가적인 주도 기술로 이끌기 위해 탄생했다.2002년 12월 10일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연구활동에 돌입한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자생식물이용개발사업단, 유용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등
프런티어
사업단들에서 생성된 유전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가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유전체정보센터는 현재 미 NCBI가 보유한 인간을 비롯한 여러 생물의 총 1천2백만여건의 유전정보를 재가공해, 이 가운데 2백만-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3차원적 구조 변화를 밝혀낼 수 있는 다차원 진동분광학의 이론을 제시해 이 분야의
프런티어
로 주목받는 과학자 조민행 교수(36, 고려대 화학과)의 입에서 흘러나온 말이다. 좋아하는 것을 하는 일은 어찌보면 당연하지만 그것을 찾고 또 그렇게 이루기란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그는 행운아인 ... ...
④ 마이크로
프런티어
가 해결한 의료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혈액속을 옮겨다니며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암세포를 파괴하는 마이크로 머신이 과연 21세기에 등장할 수 있을까. 유전자 치료법과 인공장기들이 인류를 질병의 고통으로부터 해방시켜 줄 수 있을까. 그리고 감정을 가진 로봇이 우리의 친구가 돼 줄 수 있을까.● 2004년질병에 강할 뿐 아니라 대량 ... ...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끝에 1968년 제37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당시 미국은 닉슨의 정적이었던 케네디가 뉴
프런티어
정신을 강조하면서 수립해놓은 아폴로계획과 베트남전쟁에 엄청난 돈을 퍼붓고 있었다. 닉슨은 현실주의자였다. 그의 대표적인 업적은 중국과 국교를 수립하고, 북베트남과 휴전협정을 맺은 것.닉슨은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
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한국통신의 1일 매출액은 1백억이다. 이 1백억의 기록은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기록돼 있다. 만약 이 기록이 날아간다면 순식간에 1백억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서는 언제부터인가 컴퓨터 안의 정보가 가치를 지니게 됐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등장한 것이 네트워크 보안 문제다. 어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
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운동하다가 다리를 삐끗한 경우 사람들은 병원으로 달려가 X선 촬영을 한다. 만약 X선이 없다면 어떨까. 아마 다리를 다 해부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러고 보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게 만들어준 X선은 참 고마운 존재다. 사실 X선이 의료행위의 필수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1895년 뢴트겐이 X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