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루"(으)로 총 4,0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평균적으로 한 달에 299kWh의 전기를 사용한다. 이를 요금으로 환산하면 약 5만 8010원이다. 하루에 사용량을 1kWh씩 줄이면 한 달에 약 7790원을 아낄 수 있다.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어떻게 하면 1kWh의 전기를 아낄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쏟아냈다. 백서준 군은 “TV나 컴퓨터를 쓰지 않을 때는 플러그를 ... ...
-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밝히기도 했어요. 파나마 운하청은 가뭄 현상이 올해 10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고, 하루에 통행할 수 있는 배를 25척으로 제한할 계획입니다. 가뭄에 택배도 멈춘다? 파나마 운하는 파나마 국토를 가로지르는 거대한 운하예요. 가로 길이만 총 82km로, 서울에서 강원도 춘천까지 거리와 비슷하지요. 1 ...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경험을 녹여 예보를 완성합니다!”한상은(기상청 총괄예보관) Q. 예보관의 하루가 궁금해요. 날씨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예보관은 24시간 기상청에 있어요. 낮과 밤을 번갈아 교대 근무를 하죠. 낮 근무를 할 때는 오전 6시 50분에 출근해, 가장 먼저 전날과 당일의 기상 자료들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일기를 써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오디오 녹음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일기에 삽입해 보세요. 예를 들어, 사진 앱을 열어 하루 동안 찍은 사진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을 일기에 넣는 것이죠. 단순히 기억에 기대어 글을 쓰는 것보다 사진을 보고 쓴다면 그때의 순간이 더욱 선명하고 생생하게 떠오를 거예요. 또 일기를 글로 쓰기 ... ...
- [질문하면 답해ZOOM] 지구온난화라는데 왜 겨울이 더 추워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우리 눈을 보호합니다.사람은 깨어 있는 동안 1분에 20번 정도 눈을 깜빡여요. 눈은 하루 종일 분비물을 만들지만, 깜빡임 덕분에 안구 표면에 노폐물이 쌓이지 않아요. 하지만 자는 동안에는 오랜 시간 눈을 깜빡이지 않기 때문에, 눈꼬리와 속눈썹 라인을 따라 분비물이 쌓인 채로 굳어 눈곱이 ... ...
- 빈대, 우리나라에 도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반복해 어른인 성충이 돼요. 성충이 된 뒤로는 9개월 정도 살죠. 암컷 성충은 수정을 하면 하루 2~5개 알을 2~3일 간격으로 낳아 일생 동안 약 200개의 알을 낳습니다. 빈대는 197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박멸됐던 곤충이에요.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양영철 교수는 빈대가 박멸됐던 원인에 대해 ... ...
- 비결은 어과동? 한도하 독자, 2023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국무총리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손꼽아 기다렸다고요? 저는 유치원에 다닐 때부터 지금까지 쭉 어과동을 정기 구독하며 하루도 빠짐없이 지난호를 읽는 팬이에요. 모든 과학 상식과 뉴스를 어과동에서 알게 되는 것 같아서, 어과동에 제 발명품을 소개할 기회가 오기를 바랐습니다. 어과동을 만드는 분들께 감사하다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깨져버린 탕후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분석 결과를 보면 탕후루 1개에 든 당분은 평균 20~25g였어요. 탕후루를 한 개만 먹어도 하루에 먹을 당분을 모두 섭취하는 셈이지요.에필로그“귤 과즙이 문제라면 귤을 먼저 단단하게 얼리면 어떨까요?”꿀록 탐정이 눈의 여왕에게 제안했어요.“얼리는 건 자신 있어요. 얼음 마법이 제 주특기니까요 ... ...
- [출동, 슈퍼M] 너의 이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1호
- 이름은 무엇인가요? 주변에서 나와 똑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오늘 하루 이름 조사단이 되어 봐요! 탐구 1. 우리 반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나와 친한 친구 또는 우리 반 친구들의 성씨를 파악해 보고, 어떤 성씨가 가장 많은지 표와 막대그래프로 나타내 보세요. 탐구 2. 내 이름은 ... ...
- 라면 직접 만든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만들지 방향을 잡는 거죠. Q. 평소 라면 시식도 많이 하나요? 라면 시식만 하다가 하루가 끝나버릴 때도 있어요. 면 연구팀이라고 면만 만들면 되는 게 아니라, 스프와 면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자주 시식을 하며 맛을 제대로 확인할 필요가 있지요. 풀무원 라면만 시식하는 게 아니라 다른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