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결과, 생후 2개월이 되면 코 패턴이 완성되고 이후 변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애니멀스’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390/ani11092664 연구팀은 “개의 비문이 각각의 개에 대한 고유한 생체인식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죠. 고양이의 경우는 어떨까요. 고양이는 비문을 최적의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결되고요. 알렉산더 판스워스 영국 브리스톨대 고생물학과 교수팀은 2023년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을 통해 판게아 프록시마가 만들어지면 인류가 멸종할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doi:s41561-023-01259-3 대륙이 충돌하고 합쳐지는 과정에서 태양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해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을 발표할 때 DOI를 넣기를 권장하기도 하죠. 논문의 경우 실물 학술지가 아닌 인터넷으로만 논문을 공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영구적으로 논문을 보여줄 수 있는 DOI를 등록하면 논문을 찾을 때도, 논문을 널리 퍼뜨릴 때도 유용합니다. DOI, 이렇게 쓰세요!과학동아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교수가 있다. 그해 11월 메이나드 교수는 소수의 간격을 600까지 줄인 논문을 학술지 에 발표했다. 당시 쌍둥이 소수 추측에 접근하는 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1년 넘게 이것저것 시도했는데 갑자기 아이디어가 떠올라 좋은 결과를 냈다. 당시 비슷한 시기에 발표한 장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맥코완 교수는 2009년 12월 23일 여러 동물의 발성에 지프의 법칙을 적용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액타 아스트로노티카’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16/j.actaastro.2009.11.018 연구팀은 혹등고래뿐만 아니라 큰돌고래와 다람쥐원숭이가 내는 음성 신호까지 지프의 법칙으로 분석했습니다. 이들이 내는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탕 장은 소수 간격이 7000만 이하인 소수쌍이 무한히 많음을 증명해 권위 있는 수학 학술지인 에 실었다. 이후 1년간 연구의 속도가 붙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특히 수학자들의 난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에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두 소수의 간격을 246까지 좁혔다. ... ...
- 팬케이크 맛있게 굽는 반죽 비율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반대로 반죽이 너무 질면 팬케이크가 너무 얇게 퍼져 과자처럼 구워진다. 2016년 수학 학술지 ‘매스매틱스 투데이’에 이에 관한 연구가 실렸다. 영국 런던칼리지 유체역학연구실과 영국 국립보건연구원은 녹내장을 예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한 선행 연구로 팬케이크 반죽을 걸쭉하게, 알맞게, ... ...
- [과학뉴스] 복잡한 로봇 손 ‘한 번에’ 인쇄하는 3D 프린팅 기술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번의 프린팅으로 제작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2023년 11월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3-06684-3 연구팀이 사용한 재료는 탄성이 좋으면서도 강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 ‘티올렌’이다. 티올렌을 이용하면 단단한 뼈와 유연한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53년 4월 25일, 영국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 실험실의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DNA의 구조가 이중나선임을 밝히는 논문을 출판했다. 이 발견으로 1962년 왓슨과 크릭, 그리고 킹스 칼리지 런던 의학연구부 생물물리부서의 모리스 윌킨스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 ...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에서 탁원한 업적을 세운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수학계 최고 권위 학술상이다.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최대 4명까지 상을 준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