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존"(으)로 총 3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다. 디스플레이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색을 구현하는 성능이 현존하는 다른 소재들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다.현재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퀀텀닷을 통해 총천연색을 구현하고 있지만, 여기에 만족하지 않는다. 마음대로 휠 수 있고 심지어 돌돌 말 수도 있는 플렉시블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던 2005년부터 자연모사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현존하는 생물들은 35억 년간 진화를 거치며 점차 효율적으로 변한 결과물”이라며 “바퀴벌레부터 인간까지 모든 생물을 관찰하고 분석해 자연모사 로봇에 적용가능한 모델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구상에 사는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딱정벌레처럼 구조색 띠는 초콜릿초콜릿은 1500가지가 넘는 성분으로 이뤄진, 현존하는 가장 복잡한 화학혼합물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이 풍미 성분이지만 그중에는 초콜릿을 예쁘게 보이기 위한 인공 색소도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렇게 초콜릿에 들어가는 일부 색소가 암을 유발하는 등 몸에 ... ...
- 거의 다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 네티즌이 누군지는 모르지만, 콜라츠 추측에 대해 밝혀진 게 너무 없다 보니, 현존하는 최고의 수학자에게 ‘모든 자연수의 증명이 어렵다면 자연수 대부분이 1이라는 것을 보이자’고 이야기한 걸로 추정됩니다. 이후 타오는 정말로 콜라츠 추측을 연구했고, 의미 있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
- 테렌스 타오 그는 누구인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출판되지 않은 논문이 수학자들의 관심을 끄는 건 드문 일입니다. 하지만 타오는 현존하는 수학자 중 가장 뛰어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타오가 발표한 연구는 언제나 뜨거운 관심을 받습니다. 어린 나이부터 천재성을 보이며 현재까지도 많은 수학 업적을 쌓고 있는 타오의 업적을 알아봅시다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아니라 적조와 녹조, 그리고 어류 먹이 정보 등을 제공할 해양탑재체(GOCI-Ⅱ) 역시 현존하는 장비들 중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 것만 골라 담았다. 10년 전 발사된 천리안 1호의 해양탑재체와 비교하면 그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우선 공간해상도가 4배 증가했는데, 이는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주름 잡던 ‘국보 센터’ 서장훈보다 크다. 펭수만큼 키가 큰 펭귄이 실제로도 존재할까?현존하는 펭귄 중 가장 키가 큰 종은 황제펭귄이다. 황제펭귄은 120cm 정도 된다. 그렇다고 펭수의 키가 비현실적으로 크다고만은 할 수 없다. 펭귄의 조상 중에는 거구의 종이 있었다. 2014년 아르헨티나 ... ...
- 지렁이의 비밀② 특별한 생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일이 가능한 걸까요? 2017년, 미국 서던일리노이대학교 동물학부 프랭크 앤더슨 교수팀은 현존하는 지렁이 18과의 유전체를 비교해 지렁이의 진화 과정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지구상에 지렁이가 나타난 건 약 2억 900만 년 전일 거라고 추정했지요. 이 시기는 공룡이 등장한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년 걸리는 난수 증명 과제를 3분 20초, 즉 200초 만에 시커모어가 풀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존 최고의 슈퍼컴퓨터는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의 ‘서미트’로 연산속도가 148페타플롭스(PF)에 이릅니다. 1PF는 1초에 1000조 개의 계산을 수행하는 속도입니다. 연구팀은 시커모어의 성능에 대해 "이미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배관이나 부품에서 조금이라도 누설이 발생하면 시스템이 작동을 멈추거나 오작동했다. 현존 기술로 100% 완벽한 차폐는 불가능하기에, 누설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하고 발사 시스템을 진행할 것인가는 수많은 실패를 통해서만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둘째로 온도 문제도 있었다. 극저온이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