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대기"(으)로 총 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전원 버튼은 다 이 모양일까?기사 l20241021
- 버튼은 차이가 있는데요,열쇠 구멍 모양은 전원을 꺼도 대기전력이 소비되지 않는다는 뜻이고,사과 모양의 버튼은 전원을 꺼도 대기전력이 소비된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구멍이 막혀있는 버튼은 콘센트를 꽂아놔도 전력낭비가 없지만, 구멍이 열려있는 버튼은 콘센트를 꽂아놔도 전력낭비가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사과 모양인 버튼은 사용하 ...
- .AI 연구의 선구자, 권인소 교수님과의 특별한 만남: 인촌상 수상과 도전의 이야기기사 l20241019
- 이곳 저곳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 뵙게 될 권인소 교수님의 사진과 업적이 간략히 적혀있어서 설레이고 기대가 되었습니다. 대기실에 도착해서 긴장되는 마음에 책도 읽고, 교수님께 질문할 내용을 다시한번 정리하며 기다렸습니다. 교수님과의 간담회 및 인터뷰를 마치고 시상식에 참석했습니다. 얼마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신 한강작가님도 33회 인촌 ...
- 현장 체험학습으로 서울랜드에 가다!기사 l20241018
- 친구들이 갑자기 킹바이킹이랑 급류타기를 타러 간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빛나, 도윤, 그리고 저 셋이서 놀이기구를 타러 갔습니다. 대기줄이 짧아져서 좋았습니다. 탈 때 심장이 떨렸습니다. 심지어 저는 빛나와 함께 맨 앞자리에 앉았는데, 저는 그 경험이흔치 않은 경험이라 생각해 맨 앞에 앉았고, 도윤이는 기절하면 된다고 하고선 2번째로 맨 앞에 앉 ...
- 에휴포스팅 l20241014
- 독감도 아니고 코로나도 아니고 폐렴?인지는 모르겠는 기관지염....이래요ㅜ 근데 또 열나고 기침나고 울렁거리고..미칠거 같아요..7시 반 부터 병원와서 대기하고 진료본 게 데체 무슨일이냐고요... ...
- 태양계 이야기 통합본 (Comprehensive story of the solar system)기사 l20241011
- 6/1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달에서 점프하면 높게 뛸 수 있지요.다음으로 화성은 여름에는 20도, 겨울에는 -100도입니다.화성은 대기와 자기장이 약합니다. 그래서 추운 것이지요.그리고 화성에는 위에 거대한 얼음이 있는데, 이것은 여름에 녹고 겨울에는 업니다. 화성은 테라포밍을 하기 그나마 좋은 행성이지요. 태양계는 이렇게 넓네요. 역 ...
- 내서녈지오그래픽 화성 잡지를 읽고 나서기사 l20241006
- 모습도 있습니다. 그리고 인류의 화성 이주 계획 혹은 테라포밍도 소개해 줍니다. 요약 화성은 예전에는 푸른 행성이였으나 계속된 대기 파괴로 척박한 행성이 되었습니다. 인류의 화성 이주 프로젝트는 테라포밍과 연구소를 짓고, 차츰 적응되면 도시를 짓는 것입니다. 화성에 간 50번의 탐사 중에서 25번쯤은 부분 실패나 통신 두절로 실패했습니다. 지 ...
- 기사 l20240927
- 데이터를 얻은 유일한 사례입니다. 보이저 2호가 보내온 정보 덕분에 천왕성의 자전축이 극도로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과 해왕성의 대기에서 폭풍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이저 1호와 2호는 태양 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는 먼 우주를 탐사하기 위해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를 사용해 전력을 생산합니다. RTG ...
- 세계의 희귀한 자연현상기사 l20240923
- 하겠습니다. (1) 극지방권 극지방권은 아주 춥기 때문에 신비로운 현상이 많이 일어납니다. 첫 번째, 오로라 입니다. 오로라는 대기권에서 외부 물체와 충돌이 일어나면서 형형색색으로 발광하는 것인데요. 크고 아름다워 천상의 커튼이라고도 불린답니다. 정말 커튼을 닮았네요. 출처 : naver blog - 국립 광주 과학관 두 번째, 두루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우주기자단의 마지막 미션!! HIS YOUTH 본선대회 참관!!기사 l20240919
- 에스파)은 우주방사선 노출에 따른 활기성 산소종 ROS 제거의 중요성과 향산화 전략 이라는 어려운 제목으로 발표를 시작했어요. 지구 대기권 밖에서 오랜시간 머무는 우주비행사들에게는 큰 위협이 되는 우주방사선은 인체내의 활성 산소종을 증가시킨다고 해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우주인의 건강문제를 개선시켜보자는 것이 연구 목표였어요. 세 번째 팀 ...
- 우주인이라면 [보령현장미션]기사 l20240915
- 거리상 큰 차이가 없어요. 우주에서 보는 별과 지구에서 보는 별이 다른 이유는 바로 "색깔" 때문이예요. 지구에는 대기권이 있어서 대기가 뿌연 유리역할을 해 별빛을 산란시켜요. 그래서 파장이 긴 가시광선만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데, 가시광선 중 빨강에서 노랑으로 갈수록 파장이 길어지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누르스름한 별만 보이는거예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