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7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남 거리·선박 건조장 활보하는 KAIST 로봇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등 다양한 환경에서 동일한 제어기로 강인한 성능을 발휘한다. 이 같은 기술은 명
교수
연구실에서 2023년 국제로봇자동화학술대회(ICRA) 사족보행 경진대회에 출전하며 처음 개발됐다. 유병호 유로보틱스 대표가 연구팀을 이끌었으며 핵심 자율 보행 기술 개발에 오민호·이동규 공동 유로보틱스 ... ...
뇌전증 발작 이유, 3차원 전자현미경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바이오이미징중개연구부장, 이지연 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교수
와 함께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 조직을 정밀분석해 신경세포가 과흥분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에필렙시아(Epilepsia)‘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난치성 소아 ... ...
단일세포 빅데이터 장착한 SCL사이언스… KAIST와 손잡고 암 백신 승부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첫 번째 성과다. 지난 5일 기술이전 절차가 최종 체결됐다. 최정균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단일세포 수준에서 확보한 오믹스 데이터를 대규모로 수집하고 이를 인체 각 장기별로 정리해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왼쪽부터 최정균 KAIST ... ...
중독성 없는 대마 추출물, 만성 허리 통증 완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적어 차세대 만성 통증 완화 약물로 주목받는다. 마티아스 카르스트 독일 하노버의대
교수
팀은 대마초 추출물이 심각한 부작용이나 중독 증상 없이 허리 통증을 완화한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2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공개했다. 허리에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만성 요통(CLBP) ... ...
[과기원NOW] KAIST, 빛과 AI로 경제적이고 튼튼한 3D프린팅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최신 연구 성과와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남
교수
는 "이번 수상은 그동안 꾸준히 천착해 온 초강력 초고속 레이저 연구 성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002/adma.202504075 - doi.org/10.1109/JSSC.2025.360246 ... ...
[사이언스게시판] '피지컬AI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보유한 기술로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오
교수
는 "후속 연구를 통해 초고효율 반도체 소자의 실제 상용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우주항공청은 29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사에서 국내 민간 우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2026년 신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 ...
[의학바이오게시판] 건국대병원, AI 뇌영상 분석 '뉴로핏 아쿠아'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진단 근거를 제공한다. 문원진 건국대 양상의학과
교수
는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치매 및 신경퇴행성 질환 환자들에게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진단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
미세먼지 심한 곳 살면 수면 무호흡증 악화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시 환경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마르티노 펭고 이탈리아 밀라노-비코카대
교수
연구팀은 대기 오염이 심한 지역에 거주하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증상이 악화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28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호흡기학회 총회'에서 발표했다 ... ...
"AI, 양자컴퓨터와 상호보완적으로 발전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실험 데이터에 AI가 활용됐다"고 설명했다. 토론회를 진행한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는 "AI는 단순히 계산을 빠르게 하는 것을 넘어서 패턴을 발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혁신의 도구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9월부터 11월까지 총 7회에 걸쳐 'AI 프런티어 시리즈: ... ...
면역 거부 반응 없이 이식 가능한 혈관내피세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데 성공했다. MiEC는 허혈성 질환 동물모델에서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 김효수
교수
는 “이번에 개발된 혈관내피세포는 면역거부 반응이 거의 없어 누구에게나 이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필요한 환자가 발생했을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세포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