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뉴스
"
기계
"(으)로 총 3,75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척수 손상 환자를 위한 로봇
SEIZE
l
2025.02.26
물건을 쉽게 쥐도록 돕는 로봇 장갑이 나왔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기계
공학과 연구팀이 이 로봇을 개발하고 2월 8일 유튜브 영상으로 공개했다. 로봇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에 지난해 12월 논문으로도 발표된 바 있다. 로봇 장갑은 손가락에 힘을 못 주는 척수 손상 환자를 위해 ... ...
"韓 연구평가 신뢰도 10점 만점에 6.4점…분야간 형평성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평가가 왜곡된다는 점을 꼽았다. 가장 시급히 개선돼야 할 부분도 정량적 지표의
기계
적 사용과 학문 분야 차이 미반영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한국 우수연구 평가방법과 체계 신뢰도는 10점 만점에 6.4점이었다. 김 교수는 "전문성 있는 평가자를 활용해 정성적 요인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 ...
스마트워치보다 전력 소모 3만배 적은 웨어러블 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구현했다. 이온겔은 반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로 이온의 이동성을 유지하면서도
기계
적 유연성을 갖는 전해질 소재다. 연구팀은 개발한 AI 디스플레이 소자로 센서 감지와 연산, 디스플레이 출력을 하나로 통합한 웨어러블 플랫폼을 만들었다. 웨어러블 플랫폼의 전력 소모는 1와트(W) 수준의 ... ...
차세대 유기배터리 수명 단축 원인 전해질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규명했다. 곽원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최준명 한양대
기계
공학과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전해질 안에서 일어나는 용매와 양이온 간의 강한 상호작용이 유기배터리 전극의 용출 현상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유기배터리는 상용 배터리의 ... ...
가속기 핵심 '대용량 스위치' 개발·실증…해외 최정상 연구기관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스위치가 필수적이다. 현재 산업에서 활용되는 대용량 스위치는 대부분 가스를 활용한
기계
식이다. 가스 스위치는 최대로 견딜 수 있는 전압·전류 한도가 높지만 가속기에 적용할 경우 고장에 취약하고 펄스 파워를 제어하는 정밀도에 한계를 보였다. 실제로 2~3년마다 70억원 이상의 교체 비용이 ... ...
손상에도 스스로 회복하는 스마트 고분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기대되는 이유다. 김 연구원은 "화학적 재활용이 가능한 기존 플라스틱 소재의 열적·
기계
적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손상감지와 자가회복 등 자율적 기능을 포함한 소재를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라면서 "해당 소재의 도료화 과정을 통해 자발적인 기능으로 장기 유지 ... ...
발효의 마법 '장', 과학 만나 바질페스토·뇨끼로도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2.22
위해서는 먼저 메주콩을 솥에 넣고 약 5시간 정도 푹 삶아야 합니다. 삶은 콩을 절구나
기계
를 사용해 빻은 후 직육면체 모양으로 뭉칩니다. 뭉친 콩 덩어리를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짚에 매달아두면 발효가 시작돼요. 발효는 곰팡이, 세균 등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미생물이 유용한 ... ...
일반 폐플라스틱, 원재료 수준으로 쪼개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로 분해하는 방식을 해중합(depolymerization)이라고 한다. 모노머 수준으로 분해하지 않고
기계
적 파쇄·재처리를 거친 재활용 플라스틱은 품질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플라스틱을 모노머로 되돌리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플라스틱 재활용 방식이라는 뜻이다. 400℃ 이상 고온에서 진행되는 해중합 ... ...
사용할수록 뼈처럼 강해지는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응력의 크기와 빈도에 비례해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용도에 적합한
기계
적 물성이 분포하도록 자가 조정이 가능하며 자가 치유 능력도 가졌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강 교수는 “개발된 신소재는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강성과 충격 흡수가 잘되는 특성이 있다”며 “인공 ... ...
[과기원NOW] DGIST, 신경 손상 걱정 없는 '스마트 밀착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MIT) 박사후연구원.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소희 로봇및
기계
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경을 손상하지 않고 안전하게 감쌀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커프 전극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극이 스스로 구부러져 신경을 감쌀 수 있는 '소프트 구동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