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당시
시대
일생
한평생
일평생
이시대
뉴스
"
당대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자신의 수도원에서 완두콩을 키우며 잉태하고 있었다. 그러나 멘델의 유전법칙(1865)은
당대
에 빛을 보지 못했고 35년이 지난 1900년에야 다시 재평가받을 수 있었다. 그 이후 20세기 초반 생물학의 가장 큰 숙제는 진화론과 유전학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물리학자로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진화론을 정리하기까지는 여러 요소들이 영향을 주었고 시간도 꽤 걸렸다. 여기에는
당대
의 지질학자였던 찰스 라이엘(1797~1875)과 경제학자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1766~1834)도 포함된다. 라이엘은 다윈이 비글호 항해를 떠날 때 자신의 저작인 《지질학 원리》를 선물하기도 했다. 이 책은 성경에 적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참여했고, 단백질 서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했던 생화학자 마거릿 데이호프, 그리고
당대
가장 유명한 분자생물학자였던 월터 길버트, 시드니 브레너 등이 참여했다. 회의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단백질 서열정보를 관리하던 마가렛 데이호프의 시연으로 어떻게 하면 원격으로 염기서열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밤하늘에 보이는 대부분의 별은 생각보다 굉장히 멀리 있는 셈이다. 이는 또한 우주가
당대
사람들의 생각보다 훨씬 더 크다는 뜻이기도 하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알파 센타우리로서 지구에서 약 4.37광년 떨어져 있다. 그렇다면 대체 우주는 얼마나 클까? 많은 사람들은 우리 은하가 우주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있다. 그렇다면 에테르가 부는 방향과 그렇지 않은 방향으로 빛의 속도가 달라질 것이다.
당대
의 많은 과학자들이 비슷한 아이디어로 실험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그 중에 가장 유명한 실험을 한 사람이 미국의 앨버트 마이컬슨(1852~1931)이었다. 마이컬슨은 1881년에 단독으로, 그리고 1887년에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갖다 대고 들여다보았다. 손재주가 좋았던지 렌즈를 연마하고 현미경을 제작하는 기술은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 90세 넘게 천수를 누리는 동안 400여 대의 현미경을 직접 만들었다. 그러나 레이후엔훅이 단지 현미경을 잘 만들기만 했다면 역사책에 그 이름이 남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레이후엔훅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연구자의 정체성으로 행정업무를 통해 프리프린트라는 혁신적인 출판도구를 설계했다.
당대
의 유명한 과학자들에게 왜 프리프린트가 필요한지 충분히 인식시켜 훗날 프리프린트를 향한 운동의 씨앗을 심었다. 앨브리튼과 그린의 정보교환그룹을 소개하는 논문을 쓴 매튜 코브는 글의 마지막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다른 점은 고화질의 삽화가 3백 장 이상 실렸다는 점이다. 삽화를 그린 사람은
당대
의 유명한 화가인 얀 스테벤 판 칼카르이다. 삽화가 굉장히 사실적이고 세밀해서 아마 이런 부류의 책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꽤나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의학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때이른 혁명, 프리프린트의 탄생과 좌절
2020.04.09
과학자가 된 프랜시스 크릭은 앨브리튼의 초대 메일을 받고 강력한 거부의사를 보낸다.
당대
최고의 과학자였던 크릭이지만 그는 과학자들간의 출판전 논문 공유가 왜 과학의 빠르고 건강한 발전에 도움이 되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1963년 앨브리튼은 당시 유전학 연구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35분이다. 세 번째 처형자는 라부아지에의 장인이었고 네 번째 처형자가 라부아지에였다.
당대
최고의 수학자였던 조세프 루이 라그랑주는 절친한 사이였던 라부아지에를 구명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으나 허사였다. 라그랑주가 들을 수 있었던 말은 “공화국은 과학자를 필요로 하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