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18
K-SPEC은 우리나라 최초로 만들어진 다천체분광기입니다. 다천체분광기는 수많은 별과
은하
를 관측해서 이 천체들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기계입니다. 5000개 이상의 천체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죠. 그런데 스펙트럼이 무엇일까요. 비가 오고 난 뒤의 하늘 또는 워터파크처럼 물이 많은 곳에서 ... ...
[화보] 올해 최고의 천체사진은 태양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모습을 형상화했다. 천문연 제공 강지수 씨의 '
은하
(호)수'. 서호주 여행 첫날 밤
은하
수가 하늘과 호수 수면에 동시에 빛나는 황홀한 느낌을 담은 작품이다. 천문연 제공 ● [태양계 부문] 은상 송가을 씨의 ‘부분식 중의 달의 움직임과 살짝 보이는 지구 그림자’. 2023년 10월 29일 새벽에 일어난 ... ...
'빅뱅이론'이 흔들린다...기존 우주론 위협하는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Mpc·1pc은 약 3.26광년)당 69.1km/s"라고 발표했다. 이는 1메가파섹(약 3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
들이 69.1km/s의 속도로 서로 멀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유럽우주국(ESA)의 플랑크 위성이 측정해 2018년 발표한 허블상수인 메가파섹당 67km/s과는 차이가 있다. 애덤 리스 미국 존스홉킨스대 물리학 및 ... ...
암흑에너지 규명 위해 1년간 데이터 모아보니 "기존 우주론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우주 지도. 적경 190도, 적위 14도에 이르는 하늘의 좁은 부채꼴 모양의 관측 자료로서 우리
은하
가 중심에 있다. DESI 제공 연구팀은 현대 우주론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기존 우주론인 '람다 차가운 암흑물질(LCDM)'에 따르면 우주에는 물질과 암흑물질, 암흑에너지가 존재한다. DESI 관측 자료, 플랑크 ... ...
최대 규모 '3D 우주 지도' 공개…"기존 우주론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158만여 개의
은하
단을 식별해 '3D 우주 지도'를 만들었다. 이전 우주 지도보다 3배 더 많은
은하
다. 연구팀은 "전체 우주의 역사에서 오차가 0.5%, 80억년에서 110억년 사이의 초기 우주에서 오차가 0.82% 정도인 높은 정밀도로 계산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암흑에너지가 일정한 값을 가질 것이라 ... ...
우리
은하
중심 초대질량블랙홀 편광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을 편광 관측했다. 블랙홀 주변의 빛이 나선형으로 일정하게 정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HT 제공 한국 ... "고주파수 대역 관측 성능이 우수한 KVN이 참여하면서 더 선명한 블랙홀의 그림자와 우리
은하
중심 블랙홀의 제트를 발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천문학계 논란 지핀 중력이론..."암흑물질은 신기루"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해서 암흑물질 개념을 폐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지적이다. X선와 중력렌즈로 관측한
은하
단의 물질 분포가 다르다는 점, 우주 전체의 구조 형성 등은 암흑물질 없이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기존 중력 이론도 결점이 있는 만큼 대안중력 이론을 등한시할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 ...
130억 년 전 '돌연사'한
은하
, 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천문학자들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으로 관측한 '죽은'
은하
. 이
은하
는 빅뱅 이후 7억 년 만에 별 생성을 멈췄다. JADES Collaboration 제공 천문학자 ... 살아나서 새로운 별을 형성했을 가능성도 있다"며 "초기 우주에서 이
은하
와 비슷한 다른
은하
를 더 많이 관측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1987년 폭발 '초신성 1987A' 잔해에서 중성자별 증거 발견
연합뉴스
l
2024.02.23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고 밝혔다. 우리
은하
에서 16만8천 광년 떨어진 이웃 왜소
은하
에 있는 초신성 1987A는 1987년 2월 23일 폭발하는 모습이 관측됐으며, 4세기 동안 관측된 초신성 중 가장 가깝고 가장 밝을 뿐 아니라 30여년 간 가장 많이 연구돼온 천체의 하나로 꼽힌다. 폭발 전후 중성미자(neutrino ... ...
"매일 태양 1개만큼 물질 빨아들이는 초거대 퀘이사 포착"
연합뉴스
l
2024.02.20
22년 6월 새로운 퀘이사 후보 탐색 과정에서 적색편이 z=3.9 위치에서 발견됐지만 당시 우리
은하
내의 별로 잘못 분류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칠레에 있는 유럽 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을 사용해 광학 및 근적외선 파장에서 J0529-4351을 추가로 관측하고 블랙홀 원반(black hole disk)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