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승
평방
두제곱
이방승
이승
뉴스
"
제곱
"(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⑪] 싱싱한 고급 과채, 도심 건물 옥상에서 키운다(끝)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초기 모델은 이미 도심에서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현재 성수동 업무시설 옥상에 713
제곱
미터(m2) 부지에 500m2 면적의 옥상 온실이 설치돼 있다. 이곳에선 파프리카, 오크라, 서양 가지 등 고부가가치 작물이 재배된다. 생산된 작물은 성수동 인근의 고급 식당의 식재료로 조달된다. 2차 실증은 서울 ... ...
햇빛에 내놓으면 스마트폰 충전된다…'투명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배치해 시각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투명한 특성을 확보한 것이다. 연구팀이 만든 16
제곱
센티미터(㎠) 크기의 투명 태양전지 모듈은 스마트폰 화면에 부착돼 에너지를 생산하고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데 성공했다. 모바일 기기 화면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할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새로운 ... ...
해상도 100배 빛 측정 센서 개발…정밀한 자율주행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평가 등 산업 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마이크로 렌즈 크기 때문에 공간해상도가
제곱
밀리미터 당 100개 수준으로 제한돼 복잡한 물체의 위상 이미징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메타표면 기술로 제작된 메타 렌즈를 활용해 시판되고 있는 샥-하트만 파면 센서보다 공간해상도가 약 100배 높은 ... ...
비 오면 에너지 만들고 맑으면 냉방 돕는 전천후 유리창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절약하는 원리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물방울 하나가 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1
제곱
미터당 248.28와트(W)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유리와 비교해 유리창 안쪽 온도를 평균 8.2℃, 최대 24.1℃까지 낮출 수 있었다. 또 가시광선 영역에서 80%의 투명도를 구현해 유리창뿐 ... ...
실내 온도 낮추고 빗방울로 전력 생산하는 '스마트 창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 비가 내리는 환경을 모사한 실험에서는 물방울 하나로
제곱
미터당 8.3W(와트)의 전력이 생산됐고, 줄 발열을 통해 일반 창문 대비 2배 빠른 속도로 성에가 제거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고 교수는 “화석연료 고갈과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ESG 실천에 최적화된 차세대 ... ...
야생 바다사자 도움으로 '미지의 세계' 바다 지도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생명과학부 생태학 및 진화 생물학과 연구원팀이 바다사자의 등에 센서를 부착해 수천
제곱
킬로미터 넓이의 해저 지형을 탐사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해양과학 프론티어'에 공개했다. 바다사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해저에서 보내며 대륙붕에서 먹이를 찾는다. ... ...
탄소중립 위한 SMR 실증, '가상원자로' 플랫폼이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3.1GW로 15% 수준"이라며 "한국은 풍력 여건이 좋지 않은 편인데 풍속과 발전량은 세
제곱
관계라서 풍속이 9분의 7이면 발전량은 47%까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를 보완하기 위해 탄소 배출이 거의 없고 효율이 좋은 원자력에너지가 주목받는다. 상용화된 대형 원전은 출력량은 높지만 ... ...
우주에 '결점' 생기는 보편 과정, 실험으로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양자 소용돌이가 생기는 개수와 멱함수 관계다. 멱함수는 어떤 수가 다른 변수의 거듭
제곱
으로 표현된다. 상전이 과정이 빠를수록 양자 소용돌이가 많이 생긴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중성원자 방식의 양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초유체 상전이에서 나타나는 키블-주렉 멱법칙을 최초로 관측했다. ... ...
하늘에 구멍 뚫린 듯한 극한호우, 대응책은 있을까
2024.07.19
모두 포츠담 광장 내에서 재사용된다. 포츠담 광장에 저장할 수 있는 비의 양은 총 5700세
제곱
미터(m3)에 달한다. 베를린에서 살펴본 그린 인프라는 최대 시간당 50mm의 강수량(독일 기준 100년 빈도 강우)까지도 감당할 수 있었다. 극한호우에 대비하고 있는 셈이다. 베를린의 그린 인프라 전략은 인구가 ... ...
청바지 염색 염료 이용해 '수분 → 전기'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환원되면서 전기를 추가로 생산했다. 연구진은 이때 1.2볼트(V)의 전압과
제곱
센티미터(㎠)당 2.8밀리암페어(mA)의 전류밀도를 가진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전압과 전류밀도가 기존 수분 구동 발전기에 비해 각각 2배, 10배가량 높았으며 특히 전류밀도는 학계에 보고 된 수치 중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