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가 처음 본 M87블랙홀, 4년만에 자기장 뒤집혀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년, 2025년까지 매년 M87 블랙홀을 관측하며 새로운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2026년에는 세계
최초
로 블랙홀의 단기 변화를 관측해 동영상으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존 연간 1장에서 2026년 중 3개월간 2주에 1장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관측 데이터를 확보해 동영상을 만든다는 ... ...
'유전자가위 권위자' 김진수 교수, KAIST에 34억원 기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향상시켜 식량 안보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핵심 기술은 김 교수가 세계
최초
로 개발한 ‘세포소기관(엽록체·미토콘드리아) DNA 직접 교정 기술’이다.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담당하는 엽록체와 세포의 에너지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는 자체 DNA를 갖고 있다. 기존 크리스퍼(CRISPR) ... ...
[길잃은 차세대발사체] 메탄·재사용 급전환…엇갈리는 기술성숙도·경제성 판단 (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롤모델로 삼고 있는 건 스페이스X다. 스페이스X는 세계에서 재사용발사체의 상업화에
최초
로 성공한 사례다. 스페이스X가 현재의 위성 발사 시장을 독과점할 수 있었던 데엔 재사용 발사체 기술을 선점한 영향이 가장 컸다고 본다. ● "재사용발사체 경제성, 확신할 수 있나" 이런 우주청의 ... ...
고전력 순간 방전해 반도체 초정밀 공정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5
때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소프트 스위칭(soft switching)’이라는 기법을 세계
최초
로 도입했다. 스위치의 전압(V)이나 전류(I)가 0에 가까운 지점에서 스위칭 될 수 있게 고안돼 소자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전력 손실을 무려 78% 이상 저감시켜주는 기법이다. 발열 문제도 해결해 전원 ... ...
구글·오픈AI도 눈독 들이는 '노화 역전'…"조혈모줄기세포에 방점"
동아사이언스
l
2025.09.14
적혈구를 생산하는 조혈모줄기세포는 체내에 수십만개만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해 세계
최초
로 조혈모줄기세포 기반 노화 역전 전략을 만들었다. 적혈구로 분화되는 조혈모줄기세포를 젊어지게 만들면 건강한 적혈구들이 형성되고 전신의 세포로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돼 궁극적으로 전신 노화를 ... ...
'신들의 주사위' 가능할까…진짜 랜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5.09.13
추출을 돕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1927년 영국의 통계 분석가로 활동하던 L.H.C. 티펫은
최초
로 난수표를 공식적으로 출판했습니다. 이 난수표에는 총 4만 1600개의 무작위 숫자가 적혀 있습니다. 통계분석가들은 데이터에 숫자를 매긴 후 이 난수표에서 난수를 골라 그에 맞는 데이터를 뽑는 방식으로 ... ...
소송전 비화 '천리안5호' 위성사업…선정기업, 과도한 기술이전 요구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천리안위성 5호' 이미지. 기상청 제공 국내
최초
민간 주도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자 선정을 둘러싼 문제제기가 '소송전'으로 비화한 가운데 사업자로 선정된 LIG넥스원이 위성 기술을 보유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과도한 ... ...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생산 핵심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듀셀은 5L 배양기에서 2×10¹⁰개 이상의 고순도 인공혈소판 생산에 성공해 국내
최초
특허를 등록했다. 서울대 연구팀은 혈소판 저장 과정에서 기능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후보물질을 발굴했다. 또 3차원(3D) 프린팅 기반 골수 미세환경 모사 플랫폼을 제작해 혈소판 생성 효율을 ... ...
블랙홀 합쳐지는 전과정 '샅샅이''…아인슈타인·호킹 이론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이번 연구성과는 중력파 연구 장비의 성능 향상 덕분에 가능했다. 10년 전인 2015년 인류
최초
로 중력파 존재를 탐지하는 데 그쳤던 LIGO는 10년간 장비와 분석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과학자들은 중력파의 섬세한 파동까지 식별할 수 있게 됐다. 연구에 참여한 막시밀리아노 이시 미국 ... ...
포유류 달팽이관 청각 증폭 원리 첫 관찰…난청 치료 전환점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양서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포유류의 청각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한다는 점을 세계
최초
로 실험으로 입증한 것이다. 지금까지 가장 흔한 난청인 '감각신경성 난청'을 되돌리는 약물이 없었다. 청각 증폭의 메커니즘을 제대로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치를 활용하면 특정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