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스페셜
"
데
"(으)로 총 4,65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
2024.10.05
잔뜩 겁을 줬던 역사가 있다. 근래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팬
데
믹이 한창이던 시절 마스크 쓰기를 권장하면 신체의 자유가 침해되고 마스크가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마스크 쓰기를 권장하는 것은 비도덕적이라고 이야기하던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 중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산 등반가들이 '비아그라'를 복용하는 이유
2024.09.29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백신』, 『의학을 이끈 결정적 질문』, 『처음 만나는 소화의 세계』, 『의학사 노트』, 『전염병 치료제를 내가 만든다면』, 『내가 유전자를 고를 수 있다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육아 하는 부모, 죄책감 줄여야
2024.09.28
관리하는 등) 또한 더 많이 하는 편이었다. 이들의 낮은 죄책감이 건강한 행동을 하는
데
에 한 몫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모든 양육자들이 대부분 높은 피로 속에서 높은 죄책감과 싸우고 있을 것임을 떠올려 보았다. 이미 최선을 다하고 있을 또 앞으로도 20여년을 몸바쳐 양육에 힘쓸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행동이 가능하다"면서 "쥐가 신경 과학 및 의학을 포함하여 과학적 발견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만큼 실험실 환경에서 쥐의 생활조건, 정신건강 등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는 내용의 칼럼을 실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상 최대 규모 블랙홀 제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1
2300만 광년에 달했다. 앞서 학계에선 가장 큰 제트의 길이를 1630광년 정도로 추정했는
데
이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다. 포르피리온의 길이는 당초 2096만 광년 수준으로 예상됐지만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계산한 결과 2200만 광년에서 최대 2300만 광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포르피리온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
2024.09.19
수 있는 조건이 의외로 쉽게 형성됐을 수도 있다. 코아세르베이트를 안정하게 만드는
데
빗물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 리보자임의 재료인 작은 RNA는 쉽게 드나들 수 있다는 것도 매력적인 장점이다. 최근 조스택과 공동연구자들은 코아세르베이트 큰 방울을 증류수(DI water)에 넣고 저으면 작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절'이 기분좋은 이유
2024.09.14
존재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내가 나 자신을 그럭저럭 괜찮은 사람으로 여기는
데
에는 생각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 흔히 높은 성과를 올리는 특별하게 잘난 사람이 되어야만 사랑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사람들이 혼자 잘난척 하는 사람을 얼마나 싫어하는지 생각해보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윤석열 세대'라는 씻지 못할 낙인을 찍어주는 일도 절대 해서는 안 된다. 그런
데
도 어렵사리 출범하는 여·야·의·정 협의체에 실낱같은 희망이라도 걸 수밖에 없는 국민의 입장이 안타깝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적갈등 겪으면 남을 이해하게 된다
2024.09.07
갈등 없이 평탄한 삶을 살고 싶은
데
또 그러면 재미가 없을 것 같다. 생각하고 고민하는
데
에도 어떤 즐거움(?)이 있는 것 같고 어쩌면 그것이 삶의 묘미일지도 모른다. 한 가지 좋은 소식이라면 이러한 내적 갈등에도 순기능이 있다는 사실이다. 다수의 연구들에 의하면 사람들에게 서로 충돌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일부(그것도 중요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우리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
여전히 상당한 역할을 하는 파충류 뇌는 인류의 진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형식 정보를 통해서 내용을 추측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