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스페셜
"
분리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것이다.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가 주도한 미국 공동연구자들은 플라스틱 3종 혼합물을
분리
하지 않고 그대로 반응시켜 유기산 혼합물로 분해하고 이를 대사공학으로 디자인한 미생물에 먹여 새로운 플라스틱의 원료로 바꾸는 방법을 개발했다. A. Fisher/사이언스 제공 ○ 상용화까지는 먼 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고농도로 녹아있는 액체 방울로 막이 없음에도 이런 물질의 농도가 낮은 주변 용액과
분리
돼 안정하게 존재한다. 물에 이런 물질을 넣고 잘 저어준 뒤 놔두면 액체 방울이 저절로 만들어진다. 용액 전체에 균일한 농도로 분포한 상태로 있을 것이라는 우리의 직관과는 달리 고농도인 액체 방울과 ... ...
[과학게시판] IBS 제19회 국제동위원소
분리
장치컨퍼런스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2.10.02
명예교수를 비롯한 국내외 전문가 약 15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저․고에너지 동위원소
분리
장치, 가속기, 핵분광 스펙트로미터, 레이저분광장치 등 광범위한 핵과학 관련 장치 연구를 논의한다 ... ...
[과기원은 지금] 고동연 KAIST 교수팀, 기체
분리
전자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정책에 따라 수소 생산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며 "전자 조사를 통한
분리
막 기반
분리
공정을 확대 적용해 국가 에너지 안보 확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청각장애인들이 박물관에 전시된 작품을 불편함 없이 감상할 수 있도록 '3D 모션 교정 기술'을 ... ...
[과학게시판] 기계연, 탄소중립 달성하는 열에너지 기술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해체기술연구부 책임연구원은 "방사성폐기물 내 오염핵종은 남기고 비방사성 물질만
분리
한다는 역발상의 결과"라며 "기술이전을 통해 연구원이 개발한 신기술이 우리 사회의 방사성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엔이티는 우라늄폐기물 처리 기술을 상용화한 뒤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까지 재생할 수 있는 '이 생명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9.04
다른 유형의 신경세포를 찾았다. 파충류와 포유류는 약 3억2000만 년 전 계통학적으로
분리
됐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로 대부분의 핵심 신경세포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아홀로틀은 재생의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존재다. 전 세계 30여 개 연구팀이 아홀로틀 재생능력의 비밀을 ... ...
[우주산업 리포트] (마지막회) 한국 우주산업 경쟁력 높이려면
2022.08.26
분쯤 뒤인 9시40분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이미지는 스페이스X 발사체 팰컨9로부터
분리
되는 모습. 스페이스X 공식채널 캡쳐 ※ 동아사이언스는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와 해외 우주산업 동향과 우주 분야의 주요 이슈를 매주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다. 국내에서 접하기 어려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씻으면 스트레스도 씻겨 나간다
2022.08.20
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씻는 행위를 통해 안전감을 느끼는 것이 가능하고, 물리적인
분리
뿐 아니라 씻는 행위를 통해 심리적으로 자신감 없고 못난 자신과 이별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라고 보았다. 개인 위생 상태는 평소 정신 건강 상태를 가늠하게 해주는 한 가지 지표이기도 하다. 건강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우주개발, 순위 경쟁으로 변질시키지 않아야
2022.08.17
분쯤 뒤인 9시40분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이미지는 스페이스X 발사체 팰컨9로부터
분리
되는 모습. 스페이스X 공식채널 캡쳐 수준 높은 서사(敍事)가 필요하다 우리가 달 탐사를 꿈꾸기 시작한 것은 2007년부터였다.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 우주인’을 배출하겠다고 법석을 떨던 바로 그 ... ...
[우주산업 리포트] ‘다누리’에 이어 떠나는 달 탐사선들
2022.08.12
달 후면에 착륙한 것은 2019년 착륙한 중국의 창어 4호(Chang’e 4)가 유일하다. 창어 4호에서
분리
된 로버 '위투-2'는 아직 작동하고 있다. 시리즈-2는 가로 4.2m, 세로 3.5m 크기로 달 착륙선 M1을 개발한 일본 기업 아이스페이스와 ‘시스티마 테크놀로지스’(Systima Technologies)가 공동으로 제작한다. NASA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