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형상
용모
모습
꼴
모양새
외모
스페셜
"
생김새
"(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네이처 제공 실험실에서 찍은 사진도 있는데 필자의 예상과는 달리 꽤 젊어 보인다. 얼굴
생김새
로 그 사람의 인격을 판단하는 건 ‘비과학적’인 일이겠지만 왠지 부질없는 명성에는 초연할 것 같은 인상을 풍긴다. 그래핀 초전도체에 고체물리학계가 흥분하는 건 이 현상이 고온초전도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비해 추가로 포멜로와 교잡해 얻은 멜로골드그레이프프루트(오른쪽)는 크기도 더 크고
생김새
도 포멜로에 더 가깝다. -강석기 제공 그 뒤 종종 이 그레이프프루트를 사 먹는데 논문과 관련 자료를 읽다 보니 이게 포멜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포멜로가 이렇게 맛있을 것 같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포함돼 있다. 이처럼 중국의 약초 가운데는 식물분류학적으로는 별 관계가 없더라도
생김새
가 비슷해 같은 계열의 이름을 갖게 돼 혼용될 가능성이 늘 있다. 참고로 방기는 관절통, 수족경련, 중풍, 부종 등 여러 증상에 대해 쓰였다. 아마도 벨기에의 자연요법의사가 한방기가 살을 빼는 효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분자의 디테일 차이나 농도에 따라 자주색에서 파란색 범위로 분포할 수 있겠지만 잎의
생김새
차이는 좀 더 본질적이라고 느껴졌다. 문득 나팔꽃도 일종의 외래식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천변의 많은 식물들이 나팔꽃 덩굴 등쌀에 숨막혀하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 담장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않았다. 헤어스타일이나 메이크업의 영향일 수도 있겠지만 유전자가 같다고 해서
생김새
도 100% 똑같은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키 같은 다른 신체 특성도 그렇지만 얼굴 역시 유전과 환경의 합작품이다. 류 자매의 경우도 언니는 오른쪽 눈 밑에 점이 있고 동생은 없는데 바로 환경(우연)의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박사도 믿을 수가 없다고 말했을 정도로 고품질의 DNA 정보를 확보했음에도 데니소바인의
생김새
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다만 어금니가 현생인류의 것보다 1.5배나 더 크고 네안데르탈인의 어금니보다도 커서 외모는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하면서도 좀 더 원시적으로 생겼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왜 침팬지에게 침팬지 얼굴이 아닌 사람 얼굴로 실험했냐?”고 묻자 연구자들은 “
생김새
차이가 뚜렷한 사람 얼굴을 식별하지 못한다면 비슷비슷한 침팬지 얼굴은 당연히 구분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설명에 의문이 든 드 발은 미국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눈을 동그랗게 뜬 귀여운 해마의 모습이 등장했다. 바다의 용이라 불리는 해마는 독특한
생김새
처럼 독특한 생물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물고기지만 배에 지느러미가 없고, 수컷이 암컷의 알을 수정받아 새끼를 낳는다. 중국 과학원(CAS)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해마의 전체 유전자를 해석해 ... ...
다른 사람은 나에 대해 얼마나 신경쓰고 있을까?
2016.05.03
친구가 어떤 신발을 신고 어떤 상의를 입었는지, 버스에서 내리다가 엎어진 사람 얼굴
생김새
가 어땠는지 기억나는가? 우리의 주의는 매우 한정적이다. 세상 모든 것에 주의를 주고 기억하고 다니지 않는다. 타인의 주의 역시 한정적이며, 내가 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만큼 그들은 나를 중요하게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하면 불가능한 것과 같은 상황이다. 이효철 그룹리더는 “그래서 작은 원자 단위의
생김새
를 알아내기 위해, 파장이 0.1nm 정도로 짧은 X선을 이용한 것”이라며 “구체적으로는 단백질 결정의 3차원 구조를 파악할 때처럼 X선 회절 방법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X선은 물질에 입사시킬 때 각각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