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스페셜
"
원자
"(으)로 총 5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물체의 질량이 작아질수록 영향도 줄어든다. 하물며 질량이 10의 –27승㎏ 단위인 반수소
원자
에게는 더욱 그렇다. 반수소에 미치는 중력의 영향을 측정하는 장치인 알파-g의 모식도로 통로 가운데 포획된 반수소(antihydrogen)가 위와 아래로 빠져나오는 개수를 검출한다. 실험 결과 중력만 있을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많아 알레르겐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땅콩과 콩류 같은 질소고정 식물은 질소
원자
가 포함된 독성물질인 알칼로이드를 만들어 병해충의 공격을 막는다. 작물화 과정에서 알칼로이드 함량이 크게 떨어졌지만 많이 먹으면 속이 불편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면역계가 자극돼 미처 소화하지 못한 ... ...
[사이언스게시판] IBS,
원자
선 콘퍼런스 및 IBS-RIKEN STM 워크숍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IBS)
원자
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은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와 '제3회 IBS
원자
선 콘퍼런스 & 제2회 IBS-RIKEN STM 워크숍'을 경주 라한 셀렉트 호텔에서 21일부터 25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연구단의 주요 연구장비인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을 활용한 연구기술과 저차원양자물성 ... ...
[과기원NOW] KAIST, 가상현실 구현하는 나노소재 광학 패터닝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7
소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자를 받아들이는 전자수용체 말단에 위치한
원자
를 도입해 '비대칭 n형 반도체'를 개발했다. 반도체의 고분자화합물을 이루는 두 종류의 단량체를 결합해 새로운 'p형 공중합체 반도체'도 개발했다. 새롭게 개발한 반도체들의 혼화성을 조절해 대면적 유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사이클로트론과 같은 입자가속기로
원자
를 쪼갤 수 있게 되었다.
원자
가 전자, 양성자, 중성자, 중간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간자는 쿼크와 반쿼크로 이루어진다. 기술이 발전하면 과거의 정의는 바뀌게 되는 것이다. ○ 사례 3 의학은 과학의 한 분야라고 하는 이들이 흔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너무 작아서 중력보다 열운동의 영향이 더 중요하다.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원자
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밝혀낸 꽃가루의 브라운 운동이 바로 그런 현상이다. 일반적인 물과 화학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삼중수소수(水)로 존재하는 삼중수소가 생체에 축적된다는 주장도 당혹스러운 가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이런 분자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지 감이 오지 않았는데 주된 생합성 경로를 보니 황
원자
를 함유한 정규 아미노산인 시스테인에서 불과 세 단계를 거쳐 만들어지는 분자다. 흥미로운 사실은 생합성 세 번째 단계인 하이포타우린이 타우린으로 산화하는 반응에서 NAD+가 반응을 촉매하는 조효소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X선의 위대한 도약, 단 한 개의
원자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6.03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주 표지로 확대된
원자
들의 모습을 담았다. 다양한
원자
배열을 보여주는 다소 흐릿한 이미지 위로 ... 통해 우리는 특정
원자
의 유형을 하나씩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됐으며 동시에 이
원자
의 화학적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게 됐다”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기사가 뉴욕타임스 1면에 실렸을 정도였다. 이어 1974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모든 구성
원자
의 위치를 지정한 고해상도 tRNA 구조를 발표해 8년 연구의 대장정을 마쳤다. 1950년대 DNA와 단백질 구조 규명(둘 다 노벨상을 받았다)에 이어 RNA의 구조를 처음 밝힌 것이기 때문에 노벨상이 유력해 보였지만 ... ...
[과기원은 지금] 이종석 GIST 교수팀, 소자 효율 향상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28
GIST)은 이종석 물리·광과학과 교수와 최우석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원자
수준의 전자와 격자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미래 소자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지난 13일 공개됐다. ■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