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스페셜
"
인류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행위를 흔히 ‘가십(gossip)’ 또는 뒷담화라고 한다. 가십과 관련된 흥미로운 발견은
인류
역사를 통틀어 어떤 사회에서든 가십은 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사회적 스포츠 중 하나였다는 사실이다. 학자들은 이러한 가십이 사실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한다고 본다. 우선 한 가지는 평판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갈수록 더워지는 지구, 인간의 한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인도 재난관리본부는 인도 총 28개 주 중 23개 주와 협력해 HAP를 개발 중이다. 폭염은
인류
의 재생산 능력에도 위협을 가한다. '사이언스' 과학 기자인 메레디스 왓맨에 의하면 수십 개의 연구들이 이미 임산부가 고온에 노출될 경우 조산, 저체중아 출산, 사산, 선천적 기형을 가진 태아 출산 등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인류
의 생활방식의 변화가 감염병 해결에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
인류
가 세상을 대하는 자세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 ※ 참고문헌 1. Achievements in Public Health, 1900–1999.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Vol. 48(29);621-628, 1999 2. 예병일. 전염병 치료제를 내가 만든다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더 기후 위기에 취약한 사람들을 위해 신경 써야 함을 알리는 것도 중요해 보인다.
인류
가 지금까지 존속되어 온 데에는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 작은 희생을 무릅쓰는 이들의 존재가 크지 않나 싶다. 다른 사람들이 하지 않는다면 더더욱 나라도 작은 변화를 만들어 보자는 태도가 소중한 시점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일찌감치 버려야 한다. 그런 방법으로는 기술패권 시대에 우리의 생존을 보장해줄 초
인류
기술을 확보할 수 없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존재 이유? 지난 반세기 동안 애써 다듬어왔던 우리의 과학기술 정책이 이제는 온전하게 길을 잃어버린 상황이다. 떠들썩하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개발한 광견병 백신이 예방은 물론 치료에도 효과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인류
의 역사와 함께 해 온 감염병은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그 후로 수많은 학자들이 감염병을 해결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뛰어드는 일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로베르트 코흐. ... ...
[과기원NOW] KAIST, 휴대용 3차원 구강 스캐닝 카메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07
(왼쪽) 구강 스캐닝용 라이트필드 카메라 제작을 위한 고체 잠입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오른쪽)최종 패키징된 라이트필드 카메라 기반 ... 중심으로 포스코그룹을 포함해 국내외 유수의 기업과 함께 산학연 협동의 성과를 내고
인류
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고 그 비율이 갈수록 늘어나는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다만
인류
의 오랜 진화조차 미처 대비하지 못했을 정도로 낯선 오늘날 환경이 한몫을 한 건 분명해 보인다. 식품첨가물을 비롯해 다양한 인공 화합물이 옛날 같으면 면역계가 그냥 넘어갔을 음식물의 단백질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점이 돋보이는 점이다. 역사 이래
인류
와 함께 한 감염병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한
인류
의 노력은 19세기가 되어서야 나쁜 공기라는 막연한 개념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세기 초중반에 위생과 공중보건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이 이루어진 것은 산업혁명에 의한 공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코카서스). 한편 2000년대 초 보존이 잘 된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이 발견된 이후 고
인류
학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드마니스도 조지아의 지역이다. 이들 과학을 테마로 조지아 여행 일정을 짜봐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