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스페셜
"
침투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전용 백신 동물 실험서 ‘기대 이하’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보고된 오미크론 변이는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지배종이 됐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침투
시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30여개의 이상이 변이가 발생해 기존 백신으로는 보호 효과가 떨어지자 백신 제조사들은 오미크론 전용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한 ... ...
14일 고위험군 중심 노바백스 접종 시작…일반인 잔여백신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조각을 만든 뒤, 나노입자 형태로 인체에 주입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
할 때 사용하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과 주변 당 분자를 제조해 보조 물질과 함께 투여한다. 이런 이유로 ‘합성항원’ 또는 ‘재조합 단백질’ 백신으로 불리기도 한다. 노바백스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는 감기가 될까
2022.02.08
표면으로 이동하는 장면이다. 오미크론은 다른 변이에 비해 폐 안쪽 깊숙이까지는 잘
침투
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콩대 제공 결정장애라는 말이 있다. 보통은 너무 많은 선택지가 있을 때 오히려 뭘 골라야 할지 결정을 내리기 힘들다는 맥락으로 쓰이지만, 둘 중 하나를 고를 때도 장단점의 ... ...
코로나19 변이 30분만에 PCR만큼 정확히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1.26
있는 수용체 단백질로, 모든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종이 이 단백질을 통해서 인체에
침투
한다. 이 때문에 연구팀은 ACE2를 활용하면 변이에 상관없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검출할 것이라 생각했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을 바이오센서의 센싱막에 결합했다. ACE2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강하게 결합할 ... ...
"코로나19 항원 노출 횟수만큼 변이 맞설 중화항체 많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거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코로나19가 인체에
침투
하는 데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항원에 노출된다. 미국 연구진이 백신 접종이나 코로나19 감염에 관계없이 항원 노출 횟수가 많아질수록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중화항체 수준과 양이 ... ...
미 연구팀 "대마 추출물, 코로나19 감염 억제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화학성분을 일컫는 2종의 칸나비노이드산(CBGA와 CBDA)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
할 때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해 감염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를 차단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를 주도한 브리멘 연구원은 “칸나비노이드산은 대마 추출물에 존재하지만 마리화나처럼 ...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 '우려반 기대반'
동아사이언스
l
2022.01.10
속속 드러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오미크론 변이가 다른 변이에 비해 폐까지
침투
하지 못해 폐조직에서 증식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밝혔다. 홍콩대 연구팀은 사람의 폐조직을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시키는 실험결과 다른 변이보다 느리게 증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장내 미생물 '먹는 코로나19 백신' 희망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1.10
국내에서 추진된다. 장내 세균의 유전자를 일부 조작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
할 때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분비하게 해서 항체를 만드는 원리다. 전문가들은 먹는 백신이 나오면 전세계에 백신 공급이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체의 소장과 대장에 ... ...
[코로나 생존, 끝나지 않은 굴레]② 바이러스 침입보다 더 무서운 간접 공격
동아사이언스
l
2022.01.05
장기후유증 중 하나인 후각 상실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에만 해도 바이러스가 신경계에
침투
하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신경세포에는 바이러스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가 없어 정확한 과정을 알 수 없었다. 샌딥 로버트 다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생물학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 ...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폐 손상 위험 적어" 해외 연구 속속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2.01.03
다른 장기까지 퍼질 수 있다. 하지만 연구팀이 실험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는 폐에 잘
침투
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감염 햄스터의 비강에 있는 바이러스 양은 비슷했지만 폐까지 도달한 바이러스 양은 오미크론 변이가 디른 변이에 비해 10분의 1이나 적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바이러스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