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스페셜
"
칼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무환 포스텍 총장 "공학 융합한 의학 교육의 혁신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2.07
일리노이대는 지난 2018년 공학을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의 의대를 표방하며 ‘
칼
일리노이 의대’를 설립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로 그 어느 때보다 의학과 공학을 융합한 지식을 가진 전문가에 대한 필요성 증대된 상황에 의사 과학자 혹은 의사 공학자를 제대로 ... ...
유전자 조작 면역 항암 치료 10년만에 '완치' 판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2.04
펜실베이니아의대에서 진행된 CAR-T세포 임상 1상에 처음으로 참여한 빌 루드위그(왼쪽)와
칼
준 교수의 모습이다. 루드위그는 지난해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숨졌다. 펜실베이니아의대 제공 연구팀은 CAR-T세포 임상 1상 시험에 참여한 후 완전 관해를 경험한 더그 올슨(75)과 빌 루드위그의 몸속 CAR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그런 흔적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이명법을 창시한
칼
폰 린네는 그다지 인격적으로 훌륭한 인물이 아니었다. 그는 자신의 이름으로 수많은 종의 이름을 지었고, 그걸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린네 이후 이런 만행이 계속되자 과학자사회는 명명자가 자신의 이름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이들이 아이폰을 선호하는 현상이 왠지 자연스러워 보인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
칼
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있는지 모른다. 생물학에서 작명의 전통은 오래되었다. 생물학을 잘 모르는 사람도
칼
폰 린네가 시작한 생물종의 라틴어 작명법과 '호모 사피엔스'라는 우리 종의 이름 정도는 알고 있다. 최근 출판된 《생물의 이름에는 이야기가 있다》는 지금은 우리에게 잊혀진 자연사와 분류학의 전통에서, ... ...
[인간·공감·AI](끝)일상에서 만나는 AI를 만드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한다. 동영상 분석으로
칼
과 사람을 빠르게 검출해내도 사람이
칼
을 휘두르는지,
칼
로 요리를 하는지를 쉽게 구분하지 못한다. 영상에서 사람, 약, 숟가락과 같은 사물을 찾아내면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약을 먹는다와 같은 동사를 빠르게 추론해낼 수 있다. ICCV 제공 최 교수팀은 인간의 ... ...
불이익 알고도 오미크론 변이 공개한 첫 발견자 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오미크론 변이를 처음 발견한 툴리오 지올리베이라 KRISP 이사가 학술지 '네이처'가 선정한 올해의 1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됐다. 워싱턴대 제공. 신 ... 코로나19 기술브리핑 내용을 요점만 골라 트위터로 전파해 국민의 이해를 도운 메간
칼
도 올해의 10인에 선정됐다 ... ...
증상은 경증·감염력 델타변이 2.5배 이상·재감염 위험…추가접종 통해 면역력 보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05
전파력이 센 것으로 분석됐던 델타 변이보다 감염력이 약 2.5배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칼
피어슨 영국 런던 위생학열대의학 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지난 4일 소셜미디어 트위터에 “남아공의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보다 두배 빨리 퍼지고 있다”며 수리모델링 분석결과를 공개했다. 분석결과는 ... ...
[영상+]누리호 영상 공개…3단 점화 조기종료·위성모사체 궤도 정상투입 실패 원인 분석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1단 분리(00:00~00:34)까지 좌측 상하단의 외부 카메라 2대의 영상에서는 이륙 시 엄빌리
칼
이 분리되는 걸 확인할 수 있으며, 우측 하단의 엔진부 카메라에서는 1단이 분리되고 2단 엔진이 점화하는 장면을 확인할 수 있다. 페어링 분리(00:34~00:49)에서는 좌측 상단의 탑재부 카메라를 통해 페어링이 ... ...
[표지로 읽는 과학]6배 강하고 잘 휘는 2차원 목재 소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4
기존 목재보다 23배 단단하면서도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고기
칼
보다 3배 더 날카로운
칼
날을 만들었다. 미네랄 기름으로 코팅해 수차례 씻어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팀은 강철 못과 달리 녹슬지 않는 나무못을 만들어 판자에 망치질해 박는 데도 성공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