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문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기가 바로 지금이라고 생각해요. 과학은 물론
기술
이나 경제도 수학이 없으면 안 됩니다. 생물학처럼 수학이 필요 없을 것 같은 분야도 방대한 유전자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기 위해 수학을 이용하고 있고, 은행이나 증권사의 금융 상품도 수학이 없으면 만들 수 ... ...
시각 장애인 눈 대신하는 ‘전자 지팡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밖에 있는 사물의 촉감을 생생히 느끼도록 해 집 밖을 돌아다니는 효과를 내는
기술
을 고안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에서 열린 ‘2009 가상 재활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연구팀이 만든 장비는 작은 지팡이처럼 생긴 조이스틱과 3차원 햅틱기기를 핵심으로 한다.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건 해커들을 불러들이는 강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가장 우려되는 점은
기술
적 허점이 아니라 사람에 의한 보안 사고다. 전력회사 직원이 의도적으로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실수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e메일을 열어본다면 재앙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다.하지만 이 같은 우려에도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는 “요즘은 인터넷으로 사전을 찾거나 논문을 보며 정보를 얻기가 쉬워 필요한 과학
기술
에 대한 정보도 쉽게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환경이나 생태문제에 관심이 많은 그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인터미디어 작품을 기획할 예정이다. 이 교수의 갑작스러운 발언에 연구원들이 깜짝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RNA대사연구실 박사후연구원 2001년~현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2007년~현재 교육과학
기술
부 마이크로RNA창의연구단 단장 한 번만 들어도 기억이 날 만큼 특이한 이름 덕분에 인생에 있어서 뚜렷한 가치관이나 목표가 생기지 않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빛내리 교수는 수줍게 웃었다. “어려서부터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기술
은 혼자서 잘한다고 해서 눈에 보이는 성과를 얻는 곳이 아니다. 모든
기술
자가 부품 하나라도 맡은바 소임을 다할 때 전체가 조금씩 발전해나간다. 책임감 있고 끈기 있는 학생들이 도전해 우주강국의 꿈을 이루기 바란다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on(놓다)’으로 대상들 사이의 모든 공간적 관계를
기술
하지만 한국어는 공간의 범주를
기술
하는 어휘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일반적으로 바구니에 물건을 넣을 때는 ‘넣다’라고 표현하며, 책상 위에 물건을 놓을 때는 ‘놓다’라고 표현한다. 두 표현은 한국어와 영어가 같다. 그런데 반지를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찍은 사진이다. 배율은 100배박동바이오공학상·일반부 | 이상규·한국과학
기술
원 생명과학과생명의 근원인 심장을 찍은 사진 같지만 암세포 중 하나인 헬라(Hela)를 형광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심장처럼 보이는 부분은 세포의 핵이며 그 주변을 둘러싼 혈관처럼 보이는 부분은 세포 골격을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했다. LG화학은 특히 현대기아차와 GM에 전지를 공급하고 있거나 할 계획이다.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에선 이미 10여 년 전부터 자동차용 2차 전지를 겨냥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한국의 경우 국내에서 다른 국가보다 유리한 국면이 나타나고 있는 점이 특히 눈에 띈다. 바로 자동차용 2차 전지가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위해 내한한 개발자 일본 후지필름의 후지모토 신이치 책임연구원은 “3D 카메라
기술
의 핵심은 사람의 뇌에 해당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이라며 “2개의 2차원 이미지를 합성해 3차원 이미지를 만들어낸다”고 말했다. 실제로 후지모토 연구원의 사진을 찍고 난 뒤 뒷면의 3D 액정화면으로 보자 ... ...
이전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