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운동 많이 하면 뇌가 커진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자발적으로 운동을 열심히 하는 쥐와 보통 쥐의 뇌 부피와 질량을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해 촬영했다. 그 결과 운동을 많이 한 쥐는 일반 쥐에 비해 중뇌가 평균 13% 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뇌 부피나 소뇌는 운동 여부와 관계없이 부피와 질량이 비슷했다.중뇌는 시각이나 청각, ...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마이크로렌즈 현상이 일어날 확률은 100만 분의 1이다. 그럼에도 지난 2년 동안 이 방법을 이용해 질량이 작은, 즉 행성일 가능성이 큰 천체를 500개나 발견했다. 여기서 두 가지 결론이 나왔다.첫 번째는 우리은하에는 별보다 더 많은 목성 크기의 행성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들 중 일부가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제설 방법을 찾는다? 소설 같은 이야기지만 실제 캐나다 수학자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디에프라는 도시에서 가장 효율 높게 제설차들을 움직이는 방법을 계산해 냈다.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 경영대학 안젤리카 살라저 아귈라 교수팀은 도로의 넓이와 제설차 능력을 계산에 넣고 도로가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주는 요인을 ‘온도’라고 가정하고, 프랑스의 수학자 푸리에가 만든 ‘푸리에 법칙’을 이용해 방정식을 완성했다.우선 북극의 얼음이 바다 위에 떠 있는 형태를 본떠, 왼쪽 그림과 같이 물과 얼음, 공기를 지름과 부피, 두께가 일정한 원기둥이라 생각했다. 얼음을 원기둥 으로 가정하면, 방정식에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때, 보통 잼 바른 쪽이 바닥에 닿도록 떨어질까?’와 같은 현상을 수학과 물리학을 이용해 밝혀보기로 한 것이에요.그 결과, 그것은 우연이 아니라 하나의 사실이었어요. 토스트를 떨어뜨리면 바닥에 떨어질 때, 앞 또는 뒤로 떨어질 가능성이 똑같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았던 것이지요.Q ... ...
-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이용해 정육면체와 정이십면체를 처음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대칭적 성질을 이용해 새로운 도형을 발견해 내는 것도 대칭 연구 중 하나다.1970년대 미국의 수학자 앨런 홀든은 구멍 뚫린 정다각형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뒤엉켜 있는 모양의 새로운 도형을 만들었다. 일명 ‘오더리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관심을 갖는 대상은 DNA 자체가 아닙니다. 목적도 DNA 합성이 아니라, DNA를 이용해 정보를 어떻게 ‘표현하는가’지요.”DNA의 정보가 표현된 것이 단백질이다.달리 이야기하면, 정보(유전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단백질을 합성하는 것이 합성생물학의 다음 관심사라는 뜻이다.기존에도 DNA를 조합해 ...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근사치다.가속도가 0인 곳에서는 기존 뉴턴역학 대신 수정뉴턴역학이 성립하고, 이를 이용하면 은하 회전속도의 수수께끼를 암흑물질 없이도 설명할 수 있다.하지만 수정뉴턴역학에는 약점이 하나 있었다.바로, 상대론적인 형태가 없다는 것이다.현대물리학은 상대성이론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기 ... ...
- 북대서양 ‘꼬마’ 폭풍, 지구 열 순환 돕는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규명하지 못했다.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이 중간 규모 폭풍을 만들어 바람이나 해류, 열 순환이 변하는 수치를 조사했다.연구 결과 중간 규모 폭풍은 지구의 열 순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북대서양 지역에서 대량의 열을 품은 ... ...
- 우주지도분쟁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시작해 점차 지역을 넓히는 방법으로 만들었다. 20세기 들어서야 비행기나 인공위성을 이용해 높은 곳에서 한눈에 지형을 바라볼 수 있었다. 반면, 달이나 화성 같은 천체는 망원경으로 전체 모습을 바라본 게 먼저였다. 망원경의 발달은 지형을 조금 더 자세히 볼 수 있게 만들었고, 요즘에는 ... ...
이전6016026036046056066076086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