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우주로의 시간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이는 우주선에 타고 있는 사람의 시간이
지구
에 있는 사람의 시간보다 느리게 간다는 사실을 다양한 실험과 논리로 증명했다. 상대성이론에 대한 이해는 타임머신을 현실화시키는 열쇠다.시간여행이 대중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이처럼 오래된 일이지만,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항공기의 강화플라스틱재료 등이다항성상 천체 강력한 전파를 내는 성운으로
지구
로부터 멀어져가는 속도와 에너지가 큰 것이 특징이다별의 최종 단계에서 만들어진 중성자별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전파를 발생한다 이런 천체를 펄서라고 한다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나 공기의 흐름이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즐거움을 가져다주려고? 물론 카페인을 만드는 능력 때문에 커피나무는 인류의 도움으로
지구
상의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자손을 퍼뜨린 성공적인 종에 속한다. 그러나 인류가 카페인의 맛에 취한 것은 기껏해야 2천-3천년 정도다.커피하면 남미의 콜롬비아나 브라질이 연상되지만 커피나무의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북미대륙 · 알래스카로, 전세계의 해양과 대륙에 연속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세계
지구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병원성(病原性)세균이 인체에 기생함으로써 생기는 질병의 총칭 콜레라균에 의한 콜레라, 이질균(痢疾菌)에 의한 세균성 이질, 백일해균에 의한 백일해, 장티푸스균에 의한 장티푸스, ... ...
1 화석연료 대체할 최적 후보 수소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에너지를 얻을 수도 있고,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서도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수소는
지구
상에 존재하는 거의 무한한 양의 물을 원료로 이용해 만들어낼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다시 물로 재순환되기 때문에 고갈될 걱정이 없는 무한 에너지원이다.수소는 산업용의 기초 소재로부터 일반 연료 ... ...
세계 최저온 원자 탄생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온도를 절대온도 0K(-273.15℃)에 매우 가까운 1백억분의 5K까지 낮췄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
상의 어떤 물질도 자연적으로 이렇게 차가운 것은 없다”고 연구팀을 이끈 아론 린하르트 박사는 말했다. 심지어 우주 공간도 이보다 60억배나 뜨거운 3K다.연구팀은 중력과 자기장이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최근 해양학계에서는 동해를 ‘미니 대양’이라고 부르며 주목하고 있다. 해양심층수도
지구
규모의 현상이 축소돼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의미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그림2) 바다에는 유동이 있어 인접한 바다의 유입과 유출을 통해 해수교환이 이뤄진다. 동해의 주요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승리로 끝날 것이며 패배는 완전한 파멸로 이어질 수 있다. 기계로 인해 인류는 물론
지구
의 모든 생태계가 파괴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역사 바꾸려면 닫힌 우주여야터미네이터 시리즈의 두번째 주제는 시간여행이다. 스카이넷이 타임머신을 만들어 역사를 바꾸려는 시도를 하지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스페이스셔틀로 발사한 구경(口徑) 24m의 광학망원경
지구
를 덮고 있는 대기를 가시광선영역(可視光線領域)이나 전파 영역의 전자기파(電磁氣波)는 투과할 수 있으나 그 밖의 전자파는 흡수된다 매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되풀이 사용할 수 있는 로켓 셔틀은 베틀에서 날실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Imperial College)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ASTRO-F가 그것이다(서울대측 책임자는 이형목
지구
환경과학부 교수). ASTRO-F는 SIRTF의 약점들을 극복할 것은 물론 성능에서도 SIRTF와 거의 대등하다. 2005년 초 발사예정이며 앞으로 국내 적외선 우주망원경 연구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그리고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