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장애물 스스로 피하는 비행 로봇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소규모 비행로봇은 이미 대중화됐다. 그러나 벽이나 나뭇가지에 부딪치지 않게 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았다. 사람이 조종하는 콘트롤러는 장애물을 피할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럽게 반응하기 어렵고 전파신호는 로봇이 가는 모든 곳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삭세나 교수 연구팀은 비디오 카메라와 ...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그게 다일까평준화가 많이 퍼진 우리나라는 남녀공학과 단성학교의 영향을 연구하는 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박현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팀은 서울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남녀공학과 단성학교 사이에 4년제 대학 입학률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올해 1월에 다른 ...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드레스 코드야 파티의 기본이니 이해한다고 쳐도 ‘다른 사람을 즐겁게 만들 수 있는 장기’라니! 다함께 웃고 즐기는 파티라지만 주목받고 싶은 마음이 당연한 것. 게 ... 춤에 자신의 몸짓을 맞췄다.‘아름다워, 사랑스러워~, 그래 너! (hey!) 그래 바로 너! (hey!) 지금부터 갈 데까지 가볼까 ...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우리가 받을 피해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더 정교한 기술을 쓰게 될 문명을 지키는 데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2013년 태양이 지구에 무슨 짓을 할지 유심히 지켜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붉은 태양의 분노Intro . 지구를 지배하는 절대자, 태양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Part 2 . ... ...
- INTRO. 지구를 되살리는 연금술, 블루케미스트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그 주인공이었다. 녹색화학만으로 역부족이었을까. 화학은 이제 지구환경을 복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블루케미스트리’, 말로만 듣던 지속가능성을 현실로 만들 화학의 미래를 함께 들여다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를 되살리는 연금술, 블루케미스트리PART 1. 노벨 ... ...
- PART 1. 노벨 화학상에서 블루케미스트리까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넘어 자연을 복원하는 것. 블루케미스트리의 지향점이다. 블루케미스트리로 나아가는 데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빼놓고 생각할 수 없다. 기초화학부터 환경과 에너지, 건강까지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을 한눈에 정리했다(각 수상자 설명에서 별도 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고안해 냈다. 물 속에 녹은 전이금속과 유기 리간드가 결합하면 결정체가 생기는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이를 다공성 소재로 만든 것이다.장 박사팀이 가장 최근에 합성에 성공한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의 표면적은 1g에 4200m2, 세공 크기는 2.5~3.5nm다. 이러한 나노세공체는 소량의 약물로도 ... ...
- 백색왜성 짝이 만든 우주 표준 촛불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이중성을 이루고 있는 백색왜성으로부터 1a형 초신성이 생긴다는 데 동의한다. 백색왜성은 질량이 작아 폭발을 일으키지 못하고 최후를 맞은 별의 잔해다. 만약 한 백색왜성이 짝을 이루고 있는 다른 별(동반성)로부터 질량을 빼앗아와 점점 무거워지다가 질량이 한계를 ... ...
- 파킨슨병 치료 실마리 풀릴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단백질을 분해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그러나 아밀로이드를 분해하는 데 이 효소를 사용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 효모에서 만들어진 Hsp104는 탁월한 효능을 보였지만, 이 효소가 세균에서 만들어지면 아밀로이드를 분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포유류를 비롯한 동물에서는 Hsp104가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사람들이 떠들어도 현재 기술로는 아직 누가 당선될지 예측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빅데이터를 이용해 예언을 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이다.더글라스 케넷 미국 펜실베이니어대 인류학과 교수팀은 마야 문명이 멸망한 원인이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 ...
이전6046056066076086096106116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