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떴다 떴다 비행기~♬ 수학으로 날아라!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놈의 인기는…. 수학이 없이는 설명이 불가능한 쥬엘의 ‘비행 완전 정복’ 특강!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떴다 떴다 비행기~♬ 수학으로 날아라!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PART 4 수학으로 날아오른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자기 발의 크기를 정확하게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대부분 사람은 자기 발의 크기보다
지금
까지 신던 신발의 치수로 답한다. 틀린 답은 아니지만 몸무게를 하루 종일 지탱할 신발이기에 정확한 발 크기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큰 신발가게에는 발 크기를 측정하는 기구가 있다. 발의 길이뿐 아니라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점수체계를 만들었고,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부터
지금
까지 쓰이고 있다.현재 쓰는 점수체계가 이전과 가장 다른 점은 만점이 없다는 점과, 구체적인 항목을 나눠 기준에 의해 점수를 매긴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점수체계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과정을 어느 정도 알아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뇌는 많은 수의 신경세포로 이뤄져 있다.
지금
까지의 뇌과학 연구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사람 속에서 친구 찾기처럼 복잡한 사고를 처리하는 과정은 개별 신경세포보다는 신경세포 간의 연결구조를 통한 상호작용에 의해 이뤄진다고 추정된다. 특히 ... ...
유물로 떠나는 실크로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바로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최초로 실크로드를 여행한 혜초 스님이에요. 혜초 스님은
지금
의 인도인 다섯 천축국을 여행하고 ‘왕오천축국전’이라는 여행기를 남겼어요. 그 안에는 당시 인도와 중앙아시아의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 있어, 세계 3대 여행서 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로 가치가 크답니다 ...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명예기자 어린이들은 정말 똑똑하군요! 맞아요. 이 막대가 바로 미터(m)원기예요. 하지만
지금
은 원기를 쓰지 않고, 레이저를 이용해 빛의 파장으로 길이를 재요.빛을 이용해 물체의 길이를 잰다고요?그래요. 처음 길이를 정할 때는 *지구자오선 길이의 4000만 분의 1을 1m로 약속하고 원기를 만들었죠.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노벨상에 비견되는 울프상을 수상했다. 이같이 수학계의 최고 상을 모두 받은 사람은
지금
까지 딱 3명뿐이다. 포스텍 수학과 박형주 교수는“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수학자가 독일의 다비트 힐베르트라면, 20세기 후반은 세르 교수가 대표한다”고 설명한다.그처럼 위대한 수학자도 어릴 때부터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있으면 간단히 풀 수 있는 문제는 도움이 안 되고, 전자계산기를 써야 하는 문제는
지금
보다 더 복잡하거나 개념과 원리가 더 강조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권오남 교수는“전자계산기는 수학 탐구에 쓰는 도구”라며“계산이 아니라 개념을 익히고 탄탄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 ...
[Issue & Math] 수학을 그린 화가 브네의 작업 노트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효과도 주지 않았다. 그런데 어떤 효과 탓에 생기는 아름다움도 아름다움이라는 것을
지금
에 와서알았다.작품에 색채를 도입하기로 했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미분방정식을 그래프로 그리면 모르는 함수의 형태를 추측할 수 있다. 이렇게 그려진 곡선을 브네는 자신의 작품세계에 끌어들였다.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쓴다. 3300여 개의 핵종 가운데 우리가 실제로 만날 수 있는 것은 몇 가지 되지 않는다.
지금
까지 밝혀진 핵종의 90% 이상은 사람이 다른 핵종을 강제로 ‘쪼개야(핵분열)’ 겨우 얻을 수 있다. 그나마 아주 짧은 시간만 존재하다 사라진다(붕괴).전체 핵종 가운데 붕괴 현상을 보이지 않는 것은 25 ... ...
이전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