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해
체득
d라이브러리
"
실감
"(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마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10분의 1도 못본 것 같다. 그래서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이 더욱
실감
난다. 짧은 일정으로 로마를 방문하려면 희랍로마신화를 비롯해 로마제국의 역사, 르네상스 미술사, 교회사와 성서를 미리 공부하고 가면 더욱 효과적이리라 생각한다.시로코라는 열풍이 불고로마는 장화처럼 ... ...
용돈관리를 로터스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 계산을 만약 종이 연필 전자계산기를 가지고 한다고 상상해보면 로터스의 위력을
실감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용적인 예를 통해서로터스의 기능을 이용하여 쓸만한 워크시트를 만들려면 연습을 한참 해야 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로터스의 어떤 기능이 어느 경우에 ... ...
기체는 연속인가, 입자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보이지 않는 공기입자를 그려 보면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기체상태 물질의 구조에 대해
실감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생각한 그림이 (가)보다 (나)일수록 또 ①②③보다 ④에 가까울수록 기체상태가 입자로 돼 있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다.1-2 ④ 위에서 기체를 입자라고 대답한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있는데 최근 그 이하로 떨어져 기업들의 '서울대생 구하기'가 얼마나 힘든 일인지
실감
나게 한다. 유학을 선택하는 비율은 학부출신보다 대학원출신이 훨씬 높아 대부분 대학원을 국내에서 마치고 유학길을 떠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매년 3월에 집계되므로 실제 유학가는 ... ...
제주도의 동굴과 지형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해식동굴 등이 부지기수로 눈에 띄어 제주도가 자연학습의 '산교육장'이라는 사실을
실감
나게 했다.제주도에는 기생화산이 3백60여개 존재한다. 산굼부리는 이 가운데 분화구가 가장 깨끗하게 보존된 대표적인 기생화산이다. 탐사단이 산굼부리에 올랐을 때는 함박눈이 펑펑 쏟아지고 있었다.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놀랍다. 특히 DK지역을 둘러보면 당시의 모습이 잘 보존돼 있어 그들의 높은 문화수준을
실감
할 수 있다.성곽이 있는 탑언덕 유적지 위에는 쿠샨왕조시대의 거대한 탑이 약간 허물어진 채로 남아 있다. 멀리서 보면 크고 둥근 산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벽돌로 둥글게 쌓은 탑이다.박물관에는 ... ...
국내 HDTV 어떻게 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전자시장에서 명함을 들이밀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된다.이러한 중요성을 일찍부터
실감
한 일본은 도쿄올림픽(64년)을 끝낸 후 바로 NHK를 중심으로 개발을 시작, 서울올림픽에서 시험방송까지 마쳤다. 이보다 10여년 늦게 개발에 착수한 미국은 일본(인공위성방식)과는 다른 지상중계식을 ... ...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대답이 되었습니다.4 답은 ②입니다. 비누막이 얼마나 얇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해
실감
하는 문제입니다. 비누방울을 만드는 비누막은 대단히 얇아서, 어느 경우에는 물과 비누의 가장 작은 입자가 서로 연결된 때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더운 여름날 세수를 하고 닦지 않은 채 앉아 있으면 팔뚝에 묻어 ... ...
정규교과목시대 맞은 학교컴퓨터교육 컴퓨터, 담당교사 모두 절대 부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만족해하는 것은 3년이란 시간을 그들과 몸으로 부딪치면서 생활해온 교사가 아니고서는
실감
할 수 없는 감정이리라.이렇게 학교를 떠한 학생들은 해가 바뀌고 어느 정도 회사생활에 익숙해지면 마치 연어가 제 고향을 찾아오듯이 학교로 찾아와 그동안의 사회경험과 회사에서 느낀 여러가지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적응할 수 있는 융통성이 커지거든요. 공부를 해 갈수록 이 융통성이 대단한 무기임을
실감
하게 됩니다. 뿌리가 생기거든요.김창-저는 기초과학 관련학과나 기초기술관련학과(공대계통의 기초학과)가 앞으로 유망할 것으로 생각해요. 정부의 과학정책이 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잖아요. 계획대로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