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물어봐이 같은 과학용 애플리케이션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휴대성이다. 요즘
천문학
모임 정기관측회에 가보면 아이폰을 꺼내 든 회원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관측의 정확성을 떠나 누구나 쉽게 별자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포켓유니버스의 영문메뉴가 부담된다면 ‘스타워크’를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프로그램에서 외계인을 등장시킨 몰래카메라에 속는 모습이 방송된 적이 있었다. 당시 “
천문학
자가 그런 속임수에 속아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느냐”는 비판도 있었다.빈소에서 만난 이태형 대표는 “조 박사께 그 일을 물어본 적이 있는데 ‘방송 중간에 몰래카메라라는 걸 알아차렸지만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 책은 근대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책으로 꼽힌다.뉴턴은 반사망원경을 발명해
천문학
에도 공을 세웠다. 반사망원경은 이전까지 쓰이던 굴절망원경에서 색이 번지는 현상을 없앴다. 반사망원경은 굴절망원경보다 크게 만들기 쉬워 지금도 대형망원경은 주로 반사망원경으로 만든다.▼관련기사를 ... ...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제 막 태어난 아기별들의 모습이에요. 이부분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적이 있는데,
천문학
자들은 그 때 생긴 충격파 때문에 이 새로운 별들이 생긴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대요. ▲ 지구에서 1500광년 떨어진 오리온 성운은 오리온자리의 검 부분에서 가장 밝은 곳이죠. 이 먼지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되었다.그 이후 수학의 중요성은 점점 커졌다.원래 수학과 관련이 매우 깊은 물리학이나
천문학
은 수학 없이는 할 수 없는 정도며, 전통적으로 수학과 관련이 없던 생물학에서도 이제 수학을 이용하고 있다. 드디어 수학과 과학이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된 것이다!아리스토텔레스의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해가 부족하다”며 “이번 관측과정의 재현은 첨성대의 의미를 새롭게 보고 전통
천문학
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 년 전 춘분날 별자리를 보고 신라 사람은 어떤 해석을 했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있는 ‘천원’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모두 360집이 되는데, 이는 1년이 약 360일이라는
천문학
적 사실에서 비롯한 것이다. 흑과 백이 어우러지는 바둑은 음양오행 이론에 기반을 두고 우주를 형상화한 스포츠다. 그래서 ‘신선놀음’ 또는 ‘선비놀음’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역시 바둑이다. ... ...
수학을 알면 돈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책상 앞에서 지루하게 문제를 풀어야 하는 수학, 재미있지만은 않죠? 하지만 앞으로 돈을 많이 벌고 사회를 위해서 좋은 일을 하는 데 수학이 ... 수학교수를 지냈다. 그는 회사에 경영이나 경제학을 전공한 사람은 뽑지 않고 수학,
천문학
, 공학 등을 전공한 사람만 뽑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이 오차를 정확히 측정해야 합니다. 이처럼 관측에서 오차의 학문이 발달했습니다.
천문학
자들은 별들의 운동을 관측해 그 관측값을 다양하게 얻었고 더 정확한 관측값을 위해 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책상 위에 있는 세계지도나 지구본을 볼까요? 처음으로 세계지도를 제작한 사람은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으로 풀어냈던 워크숍에 참여했던 SF작가들과
천문학
자들이 드디어 책을 냈다! 이 책에는 7편의 SF가 실려 있다. 책의 제목이기도 한 단편 ‘백만 광년의 고독’에는 인공지능과 그를 탄생시킨 인간의 의식이 하나가 된 주인공이 등장한다. SF 고전인 올라프 스태플든의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